[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4. 경관분석에 있어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한 어의구별법(Sementic Differential Method)
조경기술사. 1교시. 경관분석에 있어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한 어의구별법(Sementic Differential Method).
1. 경관분석.
1.1. 현재 또는 장래의 경관 구성 요소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경관이 관찰자에게 어떻게 보이고 느껴지는지를 질적, 양적으로 파악하는 일.
2.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2.1. 1930년대 초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렌시스 리커트(Rensis Likert)와 동료들에 의해 개발.
2.2. 특정 대상이나 개념에 대하여 응답자의 태도, 감정, 신념 등을 평가하기 위한 사회과학 분야의 방법론.
2.3. 측정 대상과 관련된 다양한 문항들을 구성하고, 이에 대하여 응답자가 나타내는 호·불호, 동의·비동의의 수준을 측정.
2.4. 일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낼수록 해당 문항에 대하여 반대하는 태도를 의미하고, 높은 점수를 보일수록 강하게 긍정하거나 동의하는 것.
2.5. 응답자의 태도가 하나의 극단에서 중립 단계를 지나 또 다른 극단에 이르는 일련의 연속선 상에서 특정 지점에 위치할 것이라는 양분론적인 가정에 기반.
3. 어의구별법.
3.1. 의미분화척도 개념이 갖는 본질적인 뜻을 몇 개의 차원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태도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는 척도.
3.2. 평가차원 '좋다-나쁘다, 아름답다-추하다'.
3.3. 능력차원 '강하다-약하다, 크다-작다'.
3.4. 활동차원 '빠르다-느리다, 수동적-능동적'.
3.5. 수용성차원 '맛있다-맛없다, 흥미롭다-귀찮다'.
3.6. 심리학 분야의 측정도구로 사용.
3.7. 사용하는 척도는 7점으로 구성된 몇몇 차원에 따른 양극화된 형용사 집합.
3.8. 한쪽에 치우친 몇개의 기본개념만을 선정해서는 안되고 어의적 공간 전체에 이르는 개념을 선정해야 한 후 양극척도를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