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23 03:43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6. BPN(British Pendulum Number) 본문

배움/조경기술사

[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6. BPN(British Pendulum Number)

상냥한 민트 2020. 9. 9. 11:27

조경기술사. 1교시. BPN(British Pendulum Number).

1. BPN(British pendulum number)이란.

1.1. 노면의 미끄럼 저항 지수.

1.2. 도로포장재 표면의 마찰특성을 측정하는 장비인 영국식 진자시험기로 산출된 결과값.

1.3. 포장재 자체의 미끄럼 저항이 높으면 높을수록, 쾌적하고 안전한 보도 조성.

2. 해외사례.

2.1. 일본 : 보도용40이상, 차도용60이상.

2.2. 유럽연합 : 보도용40이상.

2.3. 영국 : 25~35이상.

2.4. 호주/뉴질랜드 : 25~54이상.

3. 서울형 보도포장 미끄럼 저항기준.

3.1. 기존에는 점자블록, 경계석 외의 일반보도에 대한 기준이 없었음.

3.2. 점자블록은 20BPN, 경계석은 40BPN 이상으로 제정.

3.3. 눈과 비가 올 때 발생하는 미끄럼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2010년 마련.

3.4. 경사도 0~2% 이하인 평지에 설치될 보도포장재 : 40BPN.

3.5. 경사도 2~10% 이하인 완경사 : 45BPN.

3.6. 경사가 10%를 초과하는 급경사 : 50BPN 이상의 포장재 사용.

4. 기존 포장재 미끄럼 저항 시험.

4.1. 소형고압블록 : 60BPN.

4.2. 타일, 도자기, 아크릴판, 표면처리 안된 화강석 등 : 40BPN을 미달.

5. 다양한 보도포장재의 단점 극복.

5.1. 다양한 표면 가공을 통한 BPN 증가.

5.2. 투수블록 사용으로 빗물고임 제거 등.


 

참조 : 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92419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