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05 11:3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171030
- 세팅기
- 티스토리
- 140804
- 궁궐조경
- 파티찾기
- 210114
- 디카방수
- 물결플래시
- 시간의탐험대
- 가디건
- 유효하지
- 어둠의탐험대
- 물향기
- 220804
- 악세서리즈
- 식재밀도
- 어탐
- 210108
- 잔디량
- 잔디구적
- wizplat
- 소가죽
- 모르간 듀블레드
- 220624
- 211017
- 시탐
- 관목
- 유효하지않음
- 210829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배움/산림기사 (75)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8cmU/btsETlxDXJX/UNW1t7IyjWZV3ZtyxyK5WK/img.gif)
다음 조건에서 곡선반지름(m)은? ① 약 15 ② 약 25 ③ 약 30 ④ 약 50 더보기 곡선반지름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식은 차량의 설계속도, 가로미끄럼에 대한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계수(f), 그리고 노면의 횡단기울기(e)를 고려한 공식입니다. 이를 통해 곡선에서의 안전한 주행을 위한 최소 반지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V²/(중력가속도 9.81 m/s²*(마찰계수+횡단기울기) 여기서: - \( R \)은 곡선반지름(m), - \( V \)는 설계속도(m/s), - \( g \)는 중력가속도(9.81 m/s²), - \( f \)는 마찰계수, - \( e \)는 횡단기울기(단위: %를 소수로 변환)입니다. 주어진 값: - 설계속도 \( V = 25 \) km/h = \..
배움/산림기사
2024. 2. 16. 00:07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ZJYW/btsERz4yFMi/rKUfXyfkyAVURqkbaS83Hk/img.jpg)
형수를 사용해서 입목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을 형수법이라고 하는데, 비교 원주의 직경 위치를 최하단부에 정해서 구한 형수는? ① 정형수 ② 단목형수 ③ 흉고형수 ④ 절대형수 더보기 형수법 : 형수를 사용해서 입목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 절대형수 : 비교 원주의 직경 위치를 최하단부에 정해서 구함
배움/산림기사
2024. 2. 15. 23:4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JMvF/btsESLjidZX/lshdm6PUCbu8KPiBd07eHk/img.jpg)
산림경영계획에서 1-2-3-4로 표시된 산림구획이 의미하는 것은? ① 임반-보조임반-소반-보조소반 ② 임반-소반-보조임반-보조소반 ③ 경영계획구-임반-소반-보조소반 ④ 경영계획구-임반-보조임반-소반 더보기 산림경영계획에서 1-2-3-4로 표시된 산림구획이 의미하는 것은 임반-보조임반-소반-보조소반이다.
배움/산림기사
2024. 2. 15. 2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