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10829
- 물향기
- 210114
- 시간의탐험대
- 어둠의탐험대
- 220804
- 세팅기
- 140804
- 가디건
- 악세서리즈
- 관목
- 잔디구적
- 소가죽
- 모르간 듀블레드
- 211017
- 디카방수
- 티스토리
- 유효하지않음
- 식재밀도
- 171030
- 유효하지
- 220624
- 시탐
- 파티찾기
- wizplat
- 210108
- 어탐
- 물결플래시
- 궁궐조경
- 잔디량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생태자연도 본문
QGIS Desktop 3.10.7을 이용
1.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자료신청으로 생태자연도(중부원점좌표계5186)를 다운받아서 벡터레이어를 추가한다.
환경공간정보서비스
토지피복지도 항공사진과 위성영상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상태를 표현한 지도입니다. 환경주제도 주제별로 맞춤 정보 제공을 위해 환경분야 데이터를 지도화하여 시각화된 공간정보를 제공합
egis.me.go.kr
다음지도를 바탕에 깔아봤더니 잘 들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dxf로 저장한 사업지구(해치넣음) 벡터 레이어를 추가한다.
이번 사업지구는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검색하면
데이터좌표계가 [보정계수 안들어간 TM중부 베셀(EPSG : 2097)]으로 뜬다.
다만 실제로는 EPSG:5174 좌표일 가능성이 큰데,
오차보정값의 차이이다.
EPSG:5174의 파라미터 :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생태자연도 색상도 좀 수정이 필요할듯.
1등급 : 17,168,82
2등급 : RGB208,227,202
별도관리지역 : #dc7a1c / R220 G122 B28
3. 현재 두 개의 레이어가 다른 좌표계이기때문에 하나로 맞춰준다.
생태자연도는 shp파일로 불러왔으나, 구역계는 dwg파일로 불러왔으니
구역계를 shp파일로 변경하면서 좌표계도 맞춰주는 것이 좋다.
4. 교차영역을 계산해주자.
새로 생긴 구역계와 겹쳐지는 생태자연도(여기서는 eco_생태등급_A60)을 처리해주면 이렇게 나온다.
이 상태에서 dxf로 불러들이면 끝!
이름름설정/ 심볼유형모드는 객체 심볼/ 인코딩을 CP949/
CRS는 이번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도와 맞추기 위해서 5174
심볼 모드 스케일을 1:1,000로 설정해주면 된다. 오예!
210512
오늘 생태자연도는 좀 더 업그레이드 해봤다.
먼저 생태자연도의 범례를 만들었다.
레이어 속성에서 분류값을 사용하여 1, 2, 3등급의 색상을 바꾸어 준 것이다.
그리고 [새 인쇄 레이아웃]에서
범례와 스케일바를 넣어주었다.
저장 후 레이아웃에서
이미지로 내보내면
이렇게 결과물이 발생한다. 좀 더 다듬어진 느낌!
'조경 >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시설분류 (0) | 2020.11.24 |
---|---|
QGIS 가시권 분석 (2) (0) | 2020.11.12 |
QGIS 가시권분석 (2) | 2020.11.11 |
지도겹쳐보기 (0) | 2020.10.27 |
QGIS2.18 (3) | 201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