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06 03:44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QGIS 가시권 분석 (3) 본문

조경/GIS

QGIS 가시권 분석 (3)

상냥한 민트 2021. 5. 13. 17:25

가시권 분석을 여러번 진행했지만 더 깔끔하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 늘 고민한다.

그동안 DEM파일을 다운받아 썼었는데 너무 러프하게 나오는 경향이 있어서 오늘은 지형파일로 레스터를 만들어보겠다.

1. 등고선으로 형성된 파일을 불러온다.

-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등고선 검색하여 다운로드

- DXF Import가 없다면 플러그인 설치한다.

- DXF를 Import할 때에 shp파일이 아닌 gpkg 파일로 불러들여야 Z값이 살아있다.

- 레이어 그룹화에는 체크를 해지한다.

2. TIN보간을 진행한다.

- [보간에 Z 좌표값 이용] 체크

- [+]버튼을 눌러서 Z_coord 속성이 뜨도록

- 범위는 레이어 범위에 맞춰서

- 픽셀크기는 20으로

- 실행

3. 결과물

4. Create viewpoints

- 포인트 생성은 다른 게시물 참조

5. Viewshed 실행 후 

- 포인트를 추가할 때 한 레이어에 포인트를 여러개 추가했다면 [선택한 객체만]에 체크해야 한다.

- 0번을 삭제, 1번 색상을 바꿔주면 결과물 완성이다.

6. 완성된 output file로 [마스크 레이어로 래스터 자르기]를 실행한다.

7. 다시 그 결과물을 벡터로 변환하고 1번 영역을 선택하면 [식별결과]에서 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끝.


이번 결과물을 보아하니 기존 배포하던 90M DEM보다는 흡족하지만

픽셀을 20M 단위로 했더니 여전히 러프한 느낌이다.

다음에는 1M 단위로 DEM을 만들어 봐야겠다.

진짜 끝.

반응형

'조경 >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표계 코드표  (0) 2023.03.19
QGIS 정사영상 올리기  (5) 2022.12.06
원하는 포인트 객체에 XYZ값 입력  (0) 2021.05.13
공간시설분류  (0) 2020.11.24
QGIS 가시권 분석 (2)  (0) 2020.11.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