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6-27 00:19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2교시] 3. 유속 측정 방법 중 회전식 유속계 측정법과 부자(浮子) 측정법을 설명하시오. 본문

자격증/자연환경관리기술사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2교시] 3. 유속 측정 방법 중 회전식 유속계 측정법과 부자(浮子) 측정법을 설명하시오.

상냥한 민트 2021. 7. 30. 13:24
  1. 유속 측정 방법
    1. 평수시 회전식유속계에 의한 방법
    2. 홍수시 부자를 이용하는 방법
    3. 초음파유속계를 이용하는 방법
    4.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이용하는 방법
    5. 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하는 방법
    6. 수위-유량곡선을 이용하는 방법
  2. 회전식 유속계 측정법
    1. 저수·평수시의 유량측정에 적합
    2. 고수시의 유량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3. 유속계의 회전수와 유속과의 관계에서 유속을 구한다.
      • v = a + bN
        • N : 단위시간 동안의 회전수
        • a, b : 상수
        • v : 흐름의 유속
        • 상수 a, b는 공인된 검정수로에서 측정하여 결정한다.
    4. 유속 측정시 오물이나 토사가 유속계 바퀴에 얽히는 경우에 유의한다.
    5. 하천의 횡단면을 등간격이 되도록 단면을 분할하고 개개 단면마다 유속계를 떨어뜨려 각각의 유속을 구하고 개개의 단면적을 곱하여 이것을 합하여 전단면의 유량을 구한다.
  3. 부자 측정법
    1. 주로 홍수시의 유량측정에 이용된다.
    2. 부자를 투하하여 일정구간을 유하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유속을 구한다.
    3. 하천의 횡단면을 등간격이 되도록 단면을 분할하고 개개 단면마다 부자를 떠내려 보내 각각의 유속을 구하고 개개의 단면적을 곱하여 이것을 합하여 전단면의 유량을 구한다.
      •  
      • 부자의 종류로는 표면부자와 봉부자가 있으나 주로 봉부자를 이용하여 연직방향의 유속을 구한다.
      • 부자는 주로 교량 또는 부자 투하시설에서 투하한다. 제1전망단면에서 제2전망단면에 이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유하거리를 시간으로 나누어 유속을 측정한다.
      • 부자투하시설부터 제1전망단면까지의 보조구간은 적어도 30m이상이어야 함.
      • 교량을 이용하여 부자를 투하할 경우는 교각에 의한 와류 등의 영향이 없도록 한다.
      • 부자는 야간에도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출처 : http://contents2.kocw.or.kr/KOCW/document/2017/chungang/kimjinhong/3.pdf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