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효하지않음
- 물결플래시
- 디카방수
- 티스토리
- wizplat
- 관목
- 220804
- 소가죽
- 어탐
- 유효하지
- 171030
- 가디건
- 140804
- 세팅기
- 잔디구적
- 궁궐조경
- 210829
- 시탐
- 모르간 듀블레드
- 파티찾기
- 잔디량
- 식재밀도
- 물향기
- 악세서리즈
- 210108
- 시간의탐험대
- 211017
- 210114
- 어둠의탐험대
- 220624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조경공부] 모래포집기(aka.비사방지 울타리, 대나무 목책 등) 본문
오늘은 모래포집기 설계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다.
나도 바닷가출신이지만
특히 해변가 설계를 진행하다보면 모래가 육지로 날리지 않도록
지그재그 혹은 一자로 설치해놓은 대나무발이 있다.
출처 :: http://www.newstnt.com/news/articleView.html?idxno=83469
위 링크에 따르면
해안사구는 단순한 해수욕장이 아니라
태풍과 해일을 막아주는 자연방파제 역할과 동시에 다양한 생물이 사는 생태적 가치가 높은 곳인데
인공구조물이 설치되면 파도 방향이 바뀌고
바닷모래 채취, 하천 퇴적물 유입 감소 등 침식이 빨라져 훼손된다고 한다.
대나무를 엮어 만든 약 1.2m 높이의 울타리인 모래포집기를
해안가에 갈지자 형태로 설치해 두면
바람에 날려온 모래가 걸려 그 자리에 쌓이게 되고
이렇게 쌓인 태안의 해안사구 모래량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복원된 해안사구에는 사구식물이 유입되어 사구 생태계를 형성하기때문에
훼손지 복원, 생물다양성 증진, 탄소흡수 역할 증대에 기여한다.
이러한 설명은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내용으로 아래를 참고하면 된다.
출처 :: school.cbe.go.kr
금회 모래포집기는
주택가에 모래가 불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수욕장에 설치하는 것으로
생태복원 후에 해당 휀스를 철거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2-3년밖에 유지되지못하는 대나무휀스로는 재설치에 애를 먹어서
새로운 소재로 설치를 하고자 한다.
사례를 좀 찾아보고있는데 별로 없는 것 같고..
- 플라스틱.. 은 성형을 해야해서 무리일 것 같고
- 합성목은 어떨지..? 합성목도 썩긴하던데 소재를 잘 찾으면 괜찮지않을까? 일단 경관적으로 우세할 것 같다.
- 철재를 이용하면 녹이 슬기때문에 관광객이 다칠 염려가 있을 것 같다.
위와 같은 휀스(키젯)를 이용하면 어떨까?
그런 갑자기 드는 의문.
모래포집기를 설치하면 위 그림과 같이 모래가 퇴적되는데
휀스를 영구해 놔둬도 괜찮은건가..?
지난번에 갔을 때에도 어떤 부분은 밟고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모래포집기가 묻혀있던데..
▶▶▶▶▶ 해수욕장 개장시에는 잠시 철거했다가 비수기에 다시 설치한다고 함!! 의문 해결!!
열심히 검색해보니 2014년 국외출장결과보고서 중에 관련 내용이 있다.
https://www.kmi.re.kr/web/board/download.do?rbsIdx=243&idx=1270&fidx=1
우미노나카미치 해변공원(海の中道海浜公園)
- 백사장에 식재한 해송묘목의 훼손(사륜규동, 제트스키 등에 의해 백사장의 해송묘목 훼손)
- 비사에 의한 문제(백사장 배후에 위치한 JR선 쪽으로 모래가 많이 날림),
- 공원의 조성, 관리 시 근거볍령은 도시공원법임 (해당법에 비사문제, 백사장 훼손시 대책등이 명시된 조항이 있음)
- 해송지역에서 침수피해는 없으나, 비사에 의한 피해(해송묘목이 모래에 덮이는 경우) 발생
보령 무창포해수욕장은 이렇게 모래포집기를 설치했고.
제주 협재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은 아예 비사방지막을 설치했다.
미관때문에 10월경 관광객이 뜸해지면 설치한다고 한다.
한국어로는 모래포집기, 바사방지울타리, 해수욕장 모래 울타리
영어로는 sand dune fense, beach fence, sand fence
미국 캘리포니아 알고돈스 sand dunes는 이렇게 생겼고
선샤인 코스트에는 마르쿨라 펜싱이 있다.
https://fencescape.com.au/environmental/marcoola-dune-fence/
walmax라는 회사는 도로용 모래울타리를 이렇게 만들었다.
그리고 아래는 해안용 모래 울타리
'조경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공부─ 도시공원 결정의 실효 (0) | 2022.10.07 |
---|---|
[조경공부] 연필깍기 (0) | 2022.09.21 |
[조경공부] 녹지 시설 설치 관련 (0) | 2022.09.15 |
[엑셀] 문구 변경 RIGHT / LEFT / LEN / FIND / SUBSTITUTE / VLOOKUP (0) | 2022.08.03 |
[내역] EBS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