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어탐
- 세팅기
- 관목
- 티스토리
- 궁궐조경
- 220624
- 210114
- 어둠의탐험대
- 파티찾기
- 모르간 듀블레드
- 잔디량
- 소가죽
- 220804
- 171030
- 210108
- 211017
- 디카방수
- 잔디구적
- 식재밀도
- 210829
- 유효하지않음
- 유효하지
- 가디건
- 140804
- 악세서리즈
- 물향기
- 시간의탐험대
- 시탐
- wizplat
- 물결플래시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오답체크 :: 솔껍질깍지벌레 본문
솔껍질깍지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12월에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 액제를 수간에 주사한다.
② 피해목을 잘라 집재하고 비닐로 밀봉하여 메탐소듐 액제로 훈증한다.
③ 성충 우화기인 5~6월에 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를 항공 살포한다.
④ 7월 이후 알을 구제하기 위하여 페니트로티온 유제를 수관에 살포한다.
답 : ① 12월에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 액제를 수간에 주사한다.
솔껍질깍지벌레는 소나무와 해송의 가지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하고, 갈변과 고사를 일으키는 병원체입니다. 솔껍질깍지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화학적 방제: 2월 하순부터 3월 중순에 후약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시기에 부프로페진 40% 액상수화제를 항공약제살포하거나, 3월부터 디노테퓨란 액제를 1,000배 액으로 만들어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합니다¹².
- 생물적 방제: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하고, 천적에 의한 밀도 감소 효과를 기대합니다¹².
- 임업적 방제: 4~5월에 피해 식별이 쉬운 때에 예정지를 선정하고, 7~8월에 열세목을 제거하고 우세목을 존치합니다. 피해가 심한 경우에는 피해목을 벌채하고 수종을 갱신합니다¹².
- 수간주사: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등을 사용하여 나무 주사를 하여 깍지벌레의 퇴치와 예방을 합니다²³.
아래는 솔껍질깍지벌레의 예시 그림입니다. 솔껍질깍지벌레의 암컷 성충, 약충, 수컷 성충, 피해가 발생한 소나무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Bing과의 대화, 2024. 2. 8.
(1) 솔껍질깍지벌레 - 산림경영지원 - nfcf.or.kr. http://iforest.nfcf.or.kr/forest/user.tdf?a=common.HtmlApp&c=3001&page=/cyber/information/Tree0602.html&mc=CYB_FIF_NMJ_ZYB_02.
(2) 산림청 - 산림청소개 > 기관 안내 - Forest. https://forest.go.kr/kfsweb/mer/fip/dbhis/selectInsectDetail.do?dbhisIdno=190.
(3) [수목해충] 솔껍질깍지벌레 - @休. https://plantclinic.co.kr/207.
(4) 솔껍질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 네이버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s-tree&logNo=221359172807.
(5) 솔껍질깍지벌레 없애는법 방제시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bing.com/search?q=%ec%86%94%ea%bb%8d%ec%a7%88%ea%b9%8d%ec%a7%80%eb%b2%8c%eb%a0%88+%eb%b0%a9%ec%a0%9c+%eb%b0%a9%eb%b2%95.
(6) 솔껍질깍지벌레 없애는법 방제시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ck44816&logNo=223162466636.
(7) 깍지벌레 퇴치, 방제 방법 5단계 알아보기. https://garden.2minsread.com/%EB%B3%91%ED%95%B4%EC%B6%A9/%EA%B9%8D%EC%A7%80%EB%B2%8C%EB%A0%88-%ED%87%B4%EC%B9%98-%EB%B0%A9%EC%A0%9C-%EB%B0%A9%EB%B2%95-5%EB%8B%A8%EA%B3%84-%EC%95%8C%EC%95%84%EB%B3%B4%EA%B8%B0/.
(8) undefined. https://blog.naver.com/cs-tree/221283364959.
(9) undefined. https://blog.naver.com/cs-tree/221288036882.
(10) undefined. https://blog.naver.com/cs-tree/221295633740.


'배움 > 산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답체크 :: 수목병 (1) | 2024.02.08 |
---|---|
오답체크 :: 후식 해충 (1) | 2024.02.08 |
오답체크 :: 병원체 (1) | 2024.02.08 |
오답체크 :: 어린나무가꾸기 (0) | 2024.02.02 |
오답체크 :: 교림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