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9 05:5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물결플래시
- 모르간 듀블레드
- 220624
- 210114
- 디카방수
- 어탐
- 티스토리
- 171030
- 물향기
- 악세서리즈
- 유효하지않음
- 211017
- 210108
- 소가죽
- 파티찾기
- 어둠의탐험대
- 잔디구적
- 210829
- wizplat
- 시탐
- 궁궐조경
- 가디건
- 140804
- 잔디량
- 세팅기
- 관목
- 220804
- 시간의탐험대
- 식재밀도
- 유효하지
Archives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오답체크 :: 리지나뿌리썩음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본문
문제 :: 리지나뿌리썩음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해 임지에 적정량의 석회를 뿌린다.
② 임지 내에서 불을 피우는 행위를 막는다.
③ 매개충 구제를 위하여 살충제를 봄에 살포한다.
④ 피해지 주변에 깊이 80cm 정도의 도랑을 파서 피해 확산을 막는다.
더보기
답 :: ③ 매개충 구제를 위하여 살충제를 봄에 살포한다.
더보기
설명 ::
리지나뿌리썩음병은 소나무류에 발생하는 뿌리썩음병입니다. 병원균은 리지나 운둘라타라는 자낭균으로, 토양 중의 온도가 높아지면 포자가 발아하여 뿌리를 감염시킵니다12. 병에 걸린 나무는 잎이 누렇게 변하고 수세가 약해지며 말라죽습니다. 병원균은 파상땅해파리버섯이라는 자실체를 만들어 번식합니다34. 이 병은 산불이나 쓰레기 소각 등으로 토양 온도가 높아진 곳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불을 피우는 행위를 금지하고, 피해목은 제거하고, 토양 산도를 개선하는 것이 방제 방법입니다124.
리지나뿌리썩음병의 매개충은 파상땅해파리버섯이라는 자실체를 만드는 병원균의 포자를 운반하는 곤충입니다1. 매개충 구제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자실체 제거: 장마 지난 후 감염목 지제부나 감염지역 토양 위에 파상땅해파리버섯이 형성되면 발견 즉시 제거하고 소각합니다23. 이는 병원균의 포자가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매개충의 번식을 억제합니다4.
- 매개충 방제: 병원균의 포자를 운반하는 곤충은 주로 매미충류입니다12. 매미충류는 5~6월에 알을 낳고, 7~8월에 성충이 되어 흡즙을 합니다5. 이 때, 병원균의 포자를 감염된 식물과 건전한 식물에 전파할 수 있습니다12. 따라서, 매미충류의 알을 낳는 시기와 성충이 되는 시기에 적절한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덫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매개충을 포획하고 제거합니다25.
- 예방적 조치: 리지나뿌리썩음병은 토양 온도가 높아지면 병원균의 포자가 발아하여 감염을 일으킵니다12. 따라서, 소나무 숲 내에서 불을 피우거나 쓰레기를 소각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23. 또한, 산성토양에서 피해가 심하므로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 산도를 개선하고, 통기성을 높이기 위해 배수시설을 설치합니다234.
반응형
'배움 > 산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0) | 2024.02.08 |
---|---|
오답체크 :: 수목의 줄기를 주로 가해하는 해충은? (0) | 2024.02.08 |
오답체크 :: 대추나무 빗자루병 (0) | 2024.02.08 |
오답체크 :: 수목병 (1) | 2024.02.08 |
오답체크 :: 후식 해충 (1) | 2024.02.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