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6 03:1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시간의탐험대
- 220624
- 물향기
- 궁궐조경
- 물결플래시
- 모르간 듀블레드
- 세팅기
- 어둠의탐험대
- 잔디량
- 시탐
- 식재밀도
- 어탐
- 파티찾기
- 악세서리즈
- 디카방수
- 잔디구적
- 티스토리
- 211017
- 210114
- 210829
- 210108
- 171030
- 가디건
- wizplat
- 유효하지
- 소가죽
- 140804
- 유효하지않음
- 관목
- 220804
Archives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임분 밀도의 척도 본문
임분 밀도의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입목도
② 지위지수
③ 흉고단면적
④ 상대공간지수
안녕하세요, Copilot입니다. 임분 밀도의 척도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임분 밀도는 임분의 입지 이용 정도와 임목 간의 경쟁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임분 밀도를 측정하는 척도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¹²:
- 단위면적당 임목본수: 임분의 수량을 나타냅니다. 임령이나 흉고직경과 함께 제시되어야 합니다.
- 재적: 단위면적당 임목의 부피를 나타냅니다. 임분의 생산량을 평가하는데 유용합니다.
- 흉고단면적: 단위면적당 임목의 흉고부의 단면적의 합을 나타냅니다. 임분의 생장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상대밀도: 현재 임분의 흉고단면적과 정상임분의 흉고단면적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임분의 생장상태와 밀도조절의 필요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임분밀도지수: 임분의 흉고단면적과 임목본수의 곱으로 정의되는 지수입니다. 임분의 밀도와 생장량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 상대임분밀도: 현재 임분의 임분밀도지수와 정상임분의 임분밀도지수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임분의 생장상태와 밀도조절의 필요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수관경쟁인자: 임목의 수관경과 주위 임목의 수관경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임목의 개체별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 상대공간지수: 임목의 수관경과 주위 임목의 수관경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임목의 개체별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위의 네 가지 선택지 중에서 임분 밀도의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② 지위지수입니다. 지위지수는 임목의 수관경과 임분의 평균 수관경의 비율로 정의되는 지표로, 임목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냅니다. 임분 밀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임분 밀도의 척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면 [여기](^1^)나 [여기](^2^)를 참고해보세요. 😊
출처: Bing과의 대화, 2024. 2. 10.
(1) 임업경영학 요약정리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alli&logNo=222328387548.
(2) [2020 9급 산림경영학] 02. 임업경영의 기본요소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m94&logNo=221734418978.
(3) 임업경영학 요약정리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alli&logNo=222328387548.
(4) [2020 9급 산림경영학] 02. 임업경영의 기본요소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m94&logNo=221734418978.
(5) [임업경영] 3.산림생산 : 네이버 블로그. https://bing.com/search?q=%ec%9e%84%eb%b6%84+%eb%b0%80%eb%8f%84%ec%9d%98+%ec%b2%99%eb%8f%84.
(6) [임업경영] 3.산림생산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equalfeel/150145768756.
(7) 밀도와 지위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an7850&logNo=221611049044.
(8) undefined. https://blog.naver.com/galli/222328387548.
(9) undefined. https://blog.naver.com/sim94/221734418978.
![](https://blog.kakaocdn.net/dn/brGPik/btsEJcM5Eri/nBYB6bYf5ckxp1q3qxPsi1/img.jpg)
반응형
'배움 > 산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벌 (1) | 2024.02.11 |
---|---|
임목축적에서 생장에 따른 분류 (1) | 2024.02.10 |
후버(Huber)식에 의해 구한 원목 재적 (1) | 2024.02.10 |
임업소득을 계산하는 방법 (1) | 2024.02.10 |
임목을 벌채하여 제재목을 생산할 때 (0) | 2024.02.1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