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식재밀도
- 210114
- 궁궐조경
- 140804
- 어탐
- 유효하지않음
- 유효하지
- 소가죽
- wizplat
- 171030
- 210829
- 물결플래시
- 세팅기
- 가디건
- 220624
- 모르간 듀블레드
- 관목
- 220804
- 잔디구적
- 티스토리
- 210108
- 디카방수
- 잔디량
- 시간의탐험대
- 파티찾기
- 시탐
- 악세서리즈
- 어둠의탐험대
- 211017
- 물향기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덩굴제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본문
덩굴제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덩굴의 줄기를 제거하거나 뿌리를 굴취한다.
- ② 디캄바 액제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일반적인 덩굴에 적용한다.
- ③ 주로 칡, 다래, 머루 같은 덩굴류가 무성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 ④ 글라신 액제를 이용한 덩굴 제거에서는 도포보다는 주로 주입 방법을 이용한다.
덩굴 제거 방법에 대해 옳지 않은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각 옵션의 내용을 이해하고 제초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1. **덩굴의 줄기를 제거하거나 뿌리를 굴취한다.** - 이 방법은 덩굴류를 제거하는 매우 기본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물리적 제거는 화학물질 사용을 피하려는 경우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2. **디캄바 액제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일반적인 덩굴에 적용한다.** - 디캄바는 실제로 널리 사용되는 선택성 제초제입니다. 이 약제는 특정한 넓은 잎 식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작용하며, 주로 넓은 잎의 잡초를 대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비선택성 제초제로 일반적인 덩굴에 적용한다"는 설명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디캄바는 일부 덩굴류에 효과적일 수 있지만, 비선택성 제초제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3. **주로 칡, 다래, 머루 같은 덩굴류가 무성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 이 설명은 덩굴 제거 작업에서 흔히 대상으로 하는 식물 종류를 정확하게 언급합니다. 칡, 다래, 머루 등은 관리가 필요한 덩굴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무성한 성장은 다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4. **글라신 액제를 이용한 덩굴 제거에서는 도포보다는 주로 주입 방법을 이용한다.** - 글라이포세이트(Glyphosate)는 널리 사용되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글라신이라는 상품명으로도 알려져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제초제는 잎이나 줄기에 도포될 때 식물 내로 흡수되어 전체적으로 작용합니다. 주로 잎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주로 주입 방법을 이용한다"는 설명은 일반적인 사용법과 다릅니다. 글라이포세이트는 주입보다는 표면 도포에 의해 식물에 흡수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② 디캄바 액제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일반적인 덩굴에 적용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디캄바는 선택성 제초제이며, 비선택성 제초제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배움 > 산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림작업 (0) | 2024.02.15 |
---|---|
작업종을 분류하는 기준 (0) | 2024.02.15 |
곤충의 소화기관 중 잎에서 가까운 것부터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0) | 2024.02.14 |
버즘나무방패벌레 (0) | 2024.02.14 |
주로 토양에서 월동하는 병원균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