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1 14:09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어둠의탐험대
- 물향기
- 소가죽
- 210114
- 220624
- 디카방수
- 211017
- 모르간 듀블레드
- 210108
- 파티찾기
- 171030
- 210829
- 유효하지않음
- 관목
- 악세서리즈
- 잔디량
- 유효하지
- 140804
- 시탐
- 식재밀도
- 220804
- 궁궐조경
- 물결플래시
- 티스토리
- 세팅기
- wizplat
- 시간의탐험대
- 어탐
- 가디건
- 잔디구적
Archives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본문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 유충은 잎을 갉아 먹는다.
- 1년에 2~3회 발생한다.
- 성충은 주광성이 강하다.
- ① 대벌레
- ② 박쥐나방
- ③ 미국흰불나방
- ④ 조록나무흑진딧물
더보기
미국흰불나방 (영문명: Fall webworm)은 나비목 태극나방과 불나방아과의 하나로, 산림 해충으로 여겨집니다1. 이 해충은 애벌레 시기에 가로수나 활엽수 등 여러 나무의 잎을 갉아 먹습니다1. 나무의 잎맥만 남을 정도로 왕성한 식욕을 갖고 있습니다1.
미국흰불나방은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다양한 수목들을 기주식물로 삼아,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번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2. 성충은 연 3회 발생하며 나무껍질 사이·판자 틈 등에서 번데기로 월동합니다1.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1년에 2회 정도 발생하며, 성충은 한 마리가 600~700개의 알을 잎 뒷면에 낳습니다3. 이 해충은 1958년 북미에서 한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3. 이 해충은 주로 도심의 가로수·조경수·농경지 과수목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분류됩니다3.
미국흰불나방은 주로 밤에 활동하며 주광성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1. 이는 미국흰불나방이 낮에 활동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미국흰불나방
- 애벌레 시기에 나무의 잎을 갉아 먹음
- 연 2~3회 발생
- 주로 밤에 활동하며 주광성이 강함
주광성
- 빛의 자극에 반응하여 빛으로 향하거나 멀어지는 생물의 성질
반응형
'배움 > 산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엽수, 활엽수, 초본식물을 모두 기주로 하는 수목병은? (0) | 2024.02.15 |
---|---|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 약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0) | 2024.02.15 |
여름포자가 없는 녹병은? (0) | 2024.02.15 |
종자가 성숙하고 산포하는 시기가 개화 당년 봄철인 수종은? (0) | 2024.02.15 |
왜림작업 (0) | 2024.02.1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