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5 03:08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자본장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본문

배움/산림기사

자본장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상냥한 민트 2024. 2. 15. 22:41

자본장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노동생산성은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 ②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효율은 커진다.
  • ③ 자본액 중에서 유동자본을 포함한 고정자본을 종사자로 나눈 것이다.
  • ④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장비도는 작아진다.

더보기

자본장비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각각의 설명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노동생산성은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 이 설명은 옳습니다. 노동생산성은 사용된 노동 당 생산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된 자본의 양(자본장비도)과 그 자본의 효율성(자본효율)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2.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효율은 커진다.** - 이 설명은 일반적으로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자본이 많아질수록, 즉 자본집약도가 높아질수록 추가적인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자본효율은 감소할 수 있습니다.

3. **자본액 중에서 유동자본을 포함한 고정자본을 종사자로 나눈 것이다.** - 자본장비도는 기업이나 경제에서 사용되는 자본의 양을 일정 기간 동안 일하는 노동자의 수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자본장비도를 정의할 때 유동자본과 고정자본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 자본을 노동자 수로 나눈 값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만 옳다고 할 수 있으며, 설명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4.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장비도는 작아진다.** - 이 설명은 잘못되었습니다. 자본이 많아질 때, 즉 기업이나 경제 전체에서 사용되는 자본의 총량이 증가할 때, 종사자 한 명당 할당되는 자본의 양이 증가하므로 자본장비도는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① 노동생산성은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에 의해 결정된다**는 설명이 자본장비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습니다.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은 노동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