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05 11:33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교시] 일액현상(Guttation)과 일비현상(Bleeding) 본문

배움/조경기술사

[1교시] 일액현상(Guttation)과 일비현상(Bleeding)

상냥한 민트 2025. 1. 2. 00:05

제133회 조경기술사 제1교시

문제 13. 일액현상(Guttation)과 일비현상(Bleeding)


Ⅰ. 개념

  • 일액현상(Guttation): 식물이 뿌리압(root pressure)에 의해 잎 끝이나 가장자리의 수공(hydathodes)을 통해 수분을 방출하는 현상.
  • 일비현상(Bleeding): 식물이 상처 부위나 절단 부위를 통해 액체를 분비하는 현상으로, 수액(sap)이 흐르는 과정을 포함한다.

Ⅱ. 관련 내용

  1. 일액현상의 특징
    • 원리: 밤사이 기온이 낮아 기공이 닫힌 상태에서, 뿌리압이 상승하여 수분이 잎 끝으로 밀려나옴.
    • 발생 조건:
      • 고습, 저온의 환경.
      • 토양 내 수분 과잉.
    • 주요 위치: 잎 끝의 수공(hydathodes).
    • 조경 관련성: 잔디, 초본 식물에서 주로 관찰되며, 병충해와 오염 물질 축적 여부를 진단할 수 있음.
  2. 일비현상의 특징
    • 원리: 뿌리압이나 내부 수압이 강한 상태에서 상처 부위로 수액이 흘러나오는 현상.
    • 발생 조건:
      • 가지치기 또는 물리적 손상 이후.
      • 나무 내부 수압이 높을 때.
    • 주요 위치: 나무의 절단면이나 상처 부위.
    • 조경 관련성: 수목 관리 중 가지치기 또는 상처 복구 시 중요하며, 병원균 침입 예방과 관련.
  3. 일액현상과 일비현상의 비교
    • 공통점:
      • 식물 내부 수압과 관련된 현상.
      • 수분 배출을 통해 식물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냄.
    • 차이점:
      • 일액현상은 잎 끝에서, 일비현상은 상처 부위에서 발생.
      • 일액현상은 주로 밤에 발생, 일비현상은 물리적 손상 이후 발생.
  4. 조경 설계와 관리에서의 활용
    • 일액현상: 토양 과습 및 배수 상태를 확인하는 지표로 활용.
    • 일비현상: 가지치기 및 손상 복구 시 적절한 관리 방안 수립(예: 방부제 도포).
    • 유지관리: 수목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병해충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 정보로 활용.
  5. 현대적 의의
    • 두 현상은 식물의 생리적 반응을 이해하고 조경 설계와 유지 관리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 제공.
    • 도시 조경과 수목 관리에서 환경적, 생태적 스트레스 평가에 중요한 역할.

이하여백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