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6 05:52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비탈면 녹화 본문

조경/Study

비탈면 녹화

상냥한 민트 2009. 7. 17. 15:17

  3.1 비탈면 수목식재

  1. 잔디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비탈면에 비탈면경사가 1:1보다 완만할 때에는 비탈면을 일시에 녹화하기 위해서 흙이 붙어있는 재배된 잔디를 사용하여 붙인다.

  2. 비탈면 전면(평떼)붙이기는 줄눈은 틈새 없이 붙이고 십자줄이 형성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붙이며, 잔디소요면적은 비탈면면적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3. 비탈면 줄떼다지기는 잔디폭이 10㎝이상 되도록 하고, 비탈면에 10cm이내 간격으로 수평골을 파서 수평으로 심고 다짐을 철저히 한다.

  4. 선떼붙이기는 비탈면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단끊기후 되메우기한 앞면에 떼를 세워서 붙이되, 흙층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달구판으로 다지기를 잘하고 줄눈이 수평이 되도록 시공하며, 침하율을 감안하여 계획높이보다 덧쌓기를 하고, 부위별 떼의 규격은 설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정한다.

  5. 잔디고정은 떼꽂이를 사용하여 잔디 1매당 2개이상 견실하게 고정하며, 시공 후에는 모래나 흙으로 잔디붙임면을 얇게 덮은 후 달구판으로 고루 두들겨 다져준다.
  6. 잔디판붙이기는 비탈명의 침식방지 및 활착이 용이하도록 잔디판을 비탈면에 밀착 · 고정한다.


  3.2 비탈면 수목식재

  1. 비탈면의 안정적이고 생태적인 녹화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하여 비탈면에 수목을 도입하여 식재 · 시공한다.

  2. 새집붙이기
    (1) 암석을 채굴하고 깎아낸 요철이 많은 암반비탈면에 점적녹화를 목적으로 시공한다.
    (2) 수목생육에 충분한 깊이로 표토나 생육기반재를 채운다.

  3. 차폐수벽
    (1) 식생의 도입이 불가능한 암반비탈면 및 채석장 등은 수목으로 차폐한다.
    (2) 비탈면 하단부나 소단, 옹벽 등에 생육기반을 조성한 후에 2~3열로 식재한다.

  4. 덩굴식재
    (1) 일반식생의 도입이 불가능한 암절개지 및 채석장 등에서 덩굴식물로 차폐 혹은 녹화한다.
    (2) 비탈면의 상단부, 소단부, 하단부에 생육기반을 조성 · 식재하여 상향식 및 하향식 녹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5. 식생상(식생분)
    (1) 암석을 채굴하여 요철이 많은 비탈면에 점적 녹화 및 부분 녹화로 경관향상을 도모한다.
    (2) 식생상은 비탈면의 경관을 고려하여 고르게 설치한다.
    (3) 비탈면의 적소에 설치하며, 단단히 고정한다.
    (4) 식생상 안의 식물은 주변임상과 조화되도록 생태적으로 적절히 배합하여 식재한다.

  3.3 종자뿜어붙이기

  1. 급경사지에 종자를 기계적으로 뿜어붙여 일시적으로 조기에 녹화될 수 있도록 시공한다.

  2. 시공시기는 동절기(11월~2월 )를 제외하고 연중시행 가능하나 보통 3~6월, 8~10월에 시행한다.

  3. 종자착지가 어려운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적정간격으로 수평 또는 경사지게 골을 파고 시공한다.

  4. 종자가 비탈면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종자살포기탱크안의 종자를 잘 섞어서 균일하게 분사한다.

  5. 파종후 침식이 우려될 때에는 비닐 등 피복재를 전면에 덮도록 하여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잘 고정한다.

  6. 파종 2개월이내 골고루 발아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발아되었을 때에는 재파종한다. 단 10월 이후 시공할 때에는 익년 6월 초순에 재파종을 결정한다.

  3.4 식생혈(종자혈)

  1. 비탈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식생을 도입하여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2. 구멍의 밑바닥에 완숙된 퇴비나 복합비료를 넣어야 하고, 그 위에 생육기반재를 충진하며 구멍의 상부에 종자를 넣고 복토한다.

  3. 식혈지는 선정된 수목의 생육에 적합한 깊이를 확보해야 한다.

  3.5 식생판(식생반, 종자판)

  1. 생육기반재를 판상으로 만들어 표면에 종자를 붙여놓고 비탈면의 수평구속에 깔아붙여 일시에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2. 식생판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하여 떼꽂이를 2개이상을 사용하고, 필요시 새끼 등을 띄워 고정한다.

  3. 비탈면의 상부부터 순차적으로 하향하여 수평구에 배열한다.

  4. 식생판부착시 지반과 틈이 생기지 않도록 생육기반재를 채워서 밀착시킨다.

  3.6 식생대(종자대)

  1. 띠모양의 일정규격의 식생대에 종자와 비료 등을 부착시켜 비탈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2. 식생기지가 지표면보다 약간 나오도록 하고, 종자가 표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는다.

  3.7 식생자루(종자자루)

  1. 생육기반 및 종자를 자루에 담아 비탈면에 판 수평구속에 넣어 붙여 일시적으로 녹화도록 시공한다.

  2. 자루를 넣을 구멍은 규정된 깊이로 파고, 얕아서 자루가 떠오르지 않도록 하며, 틈사이는 흙으로 채우고, 자루밑에 고형비료를 시비한다.

  3. 자루의 고정을 위해 경질제, 염화비닐 U철선(길이 25㎝)등의 떼꽂이, 혹은 맹아력, 발근력이 좋은 목본류의 가지로 된 떼꽂이를 1자루에 1~2본을 사용한다.

  3.8 식생매트(종자매트)

  1. 면상의 매트에 종자를 붙여 비탈면에 포설, 부착하여 일시적인 조기녹화를 도모하도록 시공한다.

  2. 비탈면을 평평하게 끝손질한 후 나무꼬챙이 등을 꽂아주어 떠오르거나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밀착한다.

  3. 비탈면 상부 20㎝이상을 흙으로 덮고 단부(端部)를 흙속에 묻어넣어 비탈면어깨로 부터 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4. 긴 매트류로 시공할 때에는 비탈면의 위에서 아래로 길게 세로로 깔고, 흙쌓기 비탈면을 다지고 붙일 때에는 수평으로 깔며, 양단을 5㎝이상 중첩한다.

  3.9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종비토 뿜어붙이기)

  1. 식물의 자연생육이 곤란한 비탈면에 일정한 품질로 제조된 생육기반재에 종자를 섞어 조기에 경관적인 녹화와 생태적 복원 및 보전을 도모하도록 시공한다.

  2. 비탈면이 특히 건조하거나 이물질이 붙어있을 때에는 살수를 시행한 후 시공한다.

  3. 토질압에 의한 분사붙이기를 할 때에는 설계서에 의해 시공전 재료배합실관리실험을 반드시 실시한다.

  4. 암반비탈면을 시공할 때에는 전면피복녹화를 지양하고 균열과 요철에 따른 자연스런 부분녹화를 시행하여 주변식생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5. 암의 균열간격이 클수록 시공두께를 두껍게 조절한다.

  6. 암의 돌출부 및 수직, 역경사비탈면은 녹화시공을 지양하고 움푹파인 곳을 집중적으로 시공한다.

  7. 시공후 검사는 500㎡당 1개소 이상의 측정구를 설치하여 조사하며, 측정이 곤란할 경우에는 시공투입량으로 대신할 수 있다.

  8. 생육판정은 피복률과 성립본수로 하되 피복률은 경사도 및 종자배합에 따라 조정해야 하며, 55°이상은 60%이상, 45~55°는 80%이상, 45°미만은 100%로 하고 목본류를 배합할 때에는 각 기준에 70%를 적용한다. 또한, 성립본수는 초본류만 배합할 때에는 300본/㎡ 이상으로 하며, 목본류를 배합할 때에는 초본류와 목본류의 합계가 200본/㎡이상으로 한다.

  9. 생육판정시기는 시공후 90일후를 기준으로 하되 목본종 위주로 녹화한 경우 잠재발아를 고려하여 기준의 70%를 적용하여 판단하고, 10월이후에 시공할 때에는 익년 6~7월 초순으로 한다.

 

* 참고----------------------------------------------------------------------------------------------------------------

우선 토사 절취면 피복공

씨앗뿜어붙이기공
- 씨앗, 비료, 흙등의 뿜어붙일 재료에 물을 가한 혼합재료를 뿜어 붙이기 기계를 사용하여 사면에 뿜어붙이는 공법
- 토사 절토사면에 적용성이 높음
- 시공능률이 좋음
- 도랑 객토공과 병용 가능

식생매트공
- 씨앗, 비료 등을 정착한 매트류로 사면을 전면적으로 피복하는 공법
- 식생이 왕성할 때까지 매트에 의한 피복효과가 있으므로 동계나 하계에도 시공이 가능

식생판공
- 식생토 또는 이탄을 판으로 성형하고 표면에 씨앗을 심은 것을 사면에 붙임 - 객토의 효과가 있음
- 유기질 비료가 많으므로 시비(施肥)효과가 오래감

식생망태공
- 비옥토에 씨앗을 혼합해서 망태에 넣은 것을 사면에 붙임 - 씨앗, 비옥토의 유실이 적으며 지반에 밀착
- 급구배 사면 및 동계나 하계에도 시공 이 가능

부분객토식생공
- 사면에 구멍을 파고 비료와 객토, 씨앗을 넣고 복토, 양생하는 공법 - 비료의 유실이 적음
- 사면의 굳은 곳에 적합

식생줄떼공
- 씨앗, 비료 등을 정착한 섬유나 종이를 비옥토가 덮인 성토사면에 삽입
- 줄떼보다 빨리 식생 피복이 완성됨
- 성토사면에 적합


암반비탈면 녹화공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복토
- 자연토양을 주재료로 조성한 녹화 기반 토양을 액체상태로 비탈면에 분사 취부하여 녹화 - 생태 복원을 위한 산림표토 복원
- 표층붕괴 및 슬라이딩 억제 촵
- 풍화암 및 발파암에 적용

녹생토공법
- 식생이 불가한 암반비탈면에 부착망을 앵커핀과 착지핀으로 고정시킨 후 토양개량제와 양 잔디 씨앗을 혼합하여 뿌림 - 주요 경관지역 조기녹화와 낙석방지 효과
- 발파암에 적용

텍솔녹화토공법
- 녹생토공법과 유사한 토양개량 제에 폴리에스터 연속장 섬유 를 추가 혼합하여 뿌림
- 주요 경관지역 조기녹화와 낙석방지 효과
- 화학섬유의 혼합으로 균열억제
- 토사, 풍화암, 발파암 모두 적용가능

법면녹화배토습식공법
- 특정입도의 흙을 제조하고 알콜레진 601P 및 미생물 펄프를 이용하여 습식 분사
- 주요경관지역 조기 녹화 및 낙석방지공법
- 토사, 풍화암, 발파암 모두 적용가능

* 참고----------------------------------------------------------------------------------------------------------------

비탈면(사면) 녹화 공법의 종류

1. 식생녹화공법 - 잔디떼심기공(줄떼,평떼), 묘목식재, 차폐 수벽공(하단부2,3열) , 소단상 객토 식수공(H0.3, B1.0m)

2. 파종공법

- 인력시공 : 볏짚거적 시공, 종자부착거적덮기공, 식생매트

- 기계시공 : 종자분사파종공, 지하경뿜어붙이기공, 네트+종자분사 파종공, 식생기반재뿜어붙이기공

반응형

'조경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종류 및 구분  (0) 2009.09.01
병해충종합관리(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 이론  (0) 2009.08.14
2008년 조경기사 제 2회 B형 필기시험  (0) 2009.07.17
양단면평균법  (0) 2009.04.13
등고선법의 이해  (0) 2009.04.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