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2 02:52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81205 측량기능사 실기 준비 본문

조경/Study

181205 측량기능사 실기 준비

상냥한 민트 2018. 12. 5. 21:24
오늘 인덕토목 사장님께서
친히 평판측량을 알려주셨다.
학생들한테 강의도 하시는 것 같던데
정말정말 잘 알려주셨다!
만세!

이제 레벨과 토탈이 문제다.
지난 시험에 거의 만점에 가깝게 받았으나
벼락치기의 영향인가..
기억이..

1. 토탈스테이션
일단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에서는
탑콘 os-103을 소지하고 있다.
회사에서 쓰던 것은 구형이고
이것은 신형이라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 먼저 a점에 기계를 세운다.
- 삼각대 레버를 조절하고
광파기 수포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춘다.

- 광파기 수포는 초기화면에서 관측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기본관측' 화면에서 '틸트' 버튼을 눌러서 맞춘다.

- a점 좌표를 입력한다.
n이 x좌표, e가 y좌표이다.
z값은 보지 않으므로 무시.

- b점을 바라보고 방위각 135°를 입력

- c점을 측정한다.
c점을 측정할 때에
hd값이 ac수평거리값
HR값이 방위값
그래픽 화면에서 N, E(X, Y)가 좌표

- F점의 측정도 마찬가지로 한다.

- b점으로 기계를 옮긴 후
같은 방법으로 레버를 조정하고
광파기 수포 및 틸트를 조정한다.
- 같은 방법으로 D, F점을 측정한다.
- 마지막으로 CE의 거리는
x좌표의 차이값과
y좌표의 차이값을 더하여
루트를 씌워주면 계산 끝!

2. 레벨측량
- 시험장에 가면 11개의 스타프가
벽면에 걸쳐져 세워져 있다.

- 먼저 세워져있는 레벨기를 다리를 잡고 들어 0~3 스타프 사이에 둔다.
- 다리로 대략의 수평을 만들고
- 수평기를 돌려 기포를 맞춘다.
- 눈대는 쪽을 돌려서 초점을 맞춘다.
- 제시된 no.0 지반고를 적어둔다.
- 0번 스타프의 숫자을 후시에 적는다.
- 지반고+후시를 기계고에 적는다.
- 1번 스타프의 숫자을 중간점에 적는다.
0번 기계고-1번 중간점을
2번 지반고에 쓴다.
- 2번도 마찬가지.
- 3번 스타프의 숫자는 이기점에 적는다.
이동하여 3~6 스타프 사이에 두게 되면
이어주는 점이 되기 때문이다.
0번 기계고-3번 이기점 = 3번 지반고
- 레벨기를 이동하여 3번을 본다.
이제 보이는 점은 후시에 적는다.
3번 후시 + 3번 지반고 = 3번 기계고
- 마찬가지로 4~6번 중간점을 적는데
4번 7번이 뒤집어져 있다면
숫자앞에 -를 붙여서 중간점을 쓴다.
3번 기계고-(-4번 중간고) = 4번 지반고
- 5번 중간점
- 6번 이기점
- 이동 후 6번 후시를 보고
앞전의 6번 지반고를 더하여 기계고 산출
- 7번 중간점
- 8번 중간점
- 9번 중간점
- 10번 이기점을 쓴다.
반응형

'조경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공원법 18조  (0) 2020.08.03
[엑셀] 한 칸 건너 한 칸 덧셈  (0) 2019.04.30
maxactvp  (0) 2018.11.02
경사비율 1:1.5라면  (2) 2018.10.1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0) 2018.04.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