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4-25 00:0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악세서리즈
- 관목
- 티스토리
- 파티찾기
- 물결플래시
- 140804
- 210108
- 궁궐조경
- 유효하지않음
- 유효하지
- 세팅기
- 210114
- 220624
- 잔디구적
- 가디건
- 식재밀도
- 시간의탐험대
- 잔디량
- 모르간 듀블레드
- 물향기
- 디카방수
- wizplat
- 171030
- 시탐
- 220804
- 소가죽
- 어둠의탐험대
- 211017
- 어탐
- 210829
Archives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2. 추이대와 주변효과 본문
1. 추이대란
- 서로 다른 식물 군집이 만나는 경계부
- 해역과 육역,산림과 농사지역의 경계 선형
- 종다양성 높고, 먹이원과 은신처가 다양
2. 주변효과
- 추이대에서는 서로 다른 식물군집들이 만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군집 내부보다 종다양성과 밀도가 높아지게 되는 현상
- 추이대를 조성할 때에는 단위면적당 총연장 길이가 길고 폭이 넓을 수록 다양한 서식처 조성 가능하므로 비정형적 또는 불규칙한 형태
- 주변 산림에 있어서 초본, 관목, 교목의 순으로 다층식재처리하여 산림으로의 연결성 고려
3. 인간의 영향
- 인간은 주거 주변 산림을 개간하여 초지나 밭을 개방된 장소에 만들고 숲을 작게 만들어 분산
- 숲언저리에 적응되어 온 수많은 종은 인간이 새롭게 광대한 숲주변에 생활장소를 만들어 낸 결과 개체수를 증가시키고 생활지역을 넓혀감
- 그러나 이러한 개발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서식처 가운데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환경이 골고루 조성되지 못하여 생물종다양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
반응형
'배움 > 조경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7. 에스페리어(espalier) (0) | 2020.09.13 |
---|---|
[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6. BPN(British Pendulum Number) (0) | 2020.09.09 |
[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4. 경관분석에 있어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한 어의구별법(Sementic Differential Method) (0) | 2020.09.07 |
조경기술사 121회 기출문제 (0) | 2020.09.07 |
[121회] [조경기술사] [1교시] 3. 외암리 전통 민속마을의 수체계 (0) | 2020.09.0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