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4-27 07:2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모르간 듀블레드
- 물향기
- 궁궐조경
- 210108
- 유효하지
- 디카방수
- 220804
- 파티찾기
- 220624
- 물결플래시
- 211017
- 유효하지않음
- 140804
- 가디건
- 잔디구적
- 티스토리
- 악세서리즈
- 시간의탐험대
- 어탐
- 관목
- 171030
- 210829
- 시탐
- 세팅기
- 어둠의탐험대
- 210114
- 식재밀도
- 잔디량
- 소가죽
- wizplat
Archives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8. 생물농축(Biological Concentration) 본문
1. 개요
- 먹이연쇄 과정에서 특정 물질이 생물개체의 장기·세포 등에 높은 농도로 축적되는 현상. 주로 생체에 해로운 물질.
2. 농축물질
- 식물세포나 세균 중에 대사산물로 여러 가지 염류나 금속이 축적
- 사람의 갑상선에는 요드
- 우렁쉥이에는 바나듐
- 방산충에는 스트론튬
- 해파리에는 아연·주석·납 등
- 바닷말과 해면에는 요드가 농축
3. 농축경로
- 매우 복잡해서 한 번 생체에 들어오면 배출되기 어려운 물질이 있음.
- 어떤 성분이 주로 대사에 관련되어 체액이나 세포액으로부터 고체화하여 석출, 침전되는 과정의 반복에 의하는 물질이 있음.
4. 생물농축의 결과
- 먹이연쇄에서 높은 단계의 생물종이나 개체군일수록 보다 높은 농도로 축적된다.
- 유해한 물질은 생물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다.
- 지금은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유기염소제, DDT, BHC도 과거에는 생물농축되어 사람과 가축에 많은 영향
- 사람의 수은중독도 먹이연쇄와 관련된 생물농축의 결과.
반응형
'배움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9. 사막화방지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0) | 2021.05.30 |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2021년 시험 일정 (0) | 2021.05.30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7. 상극작용(Allelopathy) (0) | 2021.04.30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6. 토양시료 채취방법 (0) | 2021.04.29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5. 이슬점 온도 (0) | 2021.04.2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