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10829
- 210108
- 모르간 듀블레드
- 물결플래시
- 소가죽
- 유효하지않음
- 220804
- 세팅기
- 유효하지
- 잔디구적
- 잔디량
- 시탐
- 어탐
- 관목
- 티스토리
- 시간의탐험대
- 파티찾기
- 171030
- 어둠의탐험대
- 가디건
- 궁궐조경
- 210114
- 식재밀도
- 140804
- 220624
- 물향기
- wizplat
- 악세서리즈
- 211017
- 디카방수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9. 사막화방지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본문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9. 사막화방지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상냥한 민트 2021. 5. 30. 18:36Ⅰ. 개요
─1. 공식명칭 : 심각한 한발 또는 사막화를 겪는 아프리카지역 국가 등 일부 국가들의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한 협약
─2. 주요목적 : 기상이변, 산림황폐 등으로 심각한 한발 및 사막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국가들의 사막화 방지를 통한 지구환경 보호
Ⅱ. 협약 내용
─1. 원칙
──- 사막화 방지 Program의 이행
──- 소지역적, 지역적, 국제적 협력 증진
──- Community간, 정부간 및 비정부기구간 협력
─2. 협약상 의무
──(1) 선진국·개도국 공통
───- 양·다자 협정을 통한 사막화 방지 장기전략 수립
───- 빈곤퇴치전략과 사막화 방지사업의 연계
───- 재원동원을 위해 기존 양·다자간 재정체계 및 협정 활용 장려
──(2) 선진국의 의무
───- 피해국, 특히 아프리카 국가와 최빈국의 사막화 방지 활동지원
───- 실질적 규모의 자금 및 기타 형태의 원조 제공
───- GEF를 통한 추가적이고 새로운 재원동원 촉진
───- 피해 개도국의 사막화 방지기술 습득 조장·촉진 등
Ⅲ. 협약가입에 따른 영향
─1. 사막화는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 등 제반문제와 연관되는 지구환경문제로서 협약가입으로 우리 정부의 지구환경문제 해결의지 천명
─2. 우리 나라에 피해를 주는 중국 고비사막 및 타클라마칸사막에서 발생하는 황사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국제차원의 대응책 수립
─3. 사막화방지를 위한 행동계획 이행과 관련, 우리 나라는 중·장기적으로 환경부문 공적개발원조(ODA)를 확대하는 계기가 됨
─4. 북한 산림황폐화 등 동북아 사막화방지를 위한 지역적 협력 증진
──- 우리나라 산림녹화 및 사방기술을 피해국에 지원함으로써 위상 제고
─5. 의무부담금 부담 : 협약의 의무부담금은 약 1% 수준인 약 5만~7만$ 수준임
──- 추가적 재정부담은 없으나 자발적인 전문가 파견, 원조제공 등은 우리 정부에서 판단하여 시행할 사항임
'배움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11. 전환마을(Transition Town) (0) | 2021.06.06 |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10. 생태관광지역 지정제와 추진배경 (0) | 2021.06.01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2021년 시험 일정 (0) | 2021.05.30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8. 생물농축(Biological Concentration) (0) | 2021.05.22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7. 상극작용(Allelopathy) (0) | 202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