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20624
- 디카방수
- 소가죽
- 파티찾기
- 모르간 듀블레드
- 궁궐조경
- 가디건
- 유효하지
- 티스토리
- 140804
- 171030
- 210108
- 식재밀도
- 어둠의탐험대
- 시간의탐험대
- 시탐
- 물결플래시
- 악세서리즈
- 잔디구적
- 210829
- 어탐
- 물향기
- 관목
- 유효하지않음
- 220804
- 211017
- wizplat
- 210114
- 잔디량
- 세팅기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10. 생태관광지역 지정제와 추진배경 본문
Ⅰ. 생태관광지역 지정제란
- "생태관광"이란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에서 자연자산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통하여 환경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관광
- "생태관광지역 지정제"라 함은 환경적으로 보전가치가 있고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체험·교육할 수 있는 지역을 지정하는 제도. 즉, 잘 보전된 자연자산을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하고, 환경 친화적이고 우수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반국민이 생태관광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
Ⅱ. 추진배경
1. 전세계적으로 '현명한 이용(wise use)'과 '현명한 보전(smart conservation)' 측면에서 자연자원의 관리 부각.
2. 생태관광은 지난 20여 년 동안 국내·외에서 꾸준히 성장.
3. 생태관광은 자연자원의 보전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분야.
4. 실제로 수요자의 입장에서 일정수준의 품질을 보장해줄 수 있는 생태관광 상품과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필요.
5. 이에, 수요자 중심에서 생태관광의 질을 보장하는 「생태관광지역 지정제」를 도입하여
- 보전가치가 있거나 잠재성이 있는 자연(생태)자원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를 유도하고,
- 관광객들에게는 품질을 보장하며,
- 생태관광 사업 시행자(지자체, 기업 등)에게는 시행지침 및 목표를 제시하며,
- 규제지역으로 인식되는 보호지역 혹은 보전가치가 잠재되어 있는 지역의 지역 활성화 및 경제적 자립 기반 마련을 유도하고자 함.
'배움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12. 생태계 기반 적응(EbA : Ecosystem-based Adaptation) (0) | 2021.06.08 |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11. 전환마을(Transition Town) (0) | 2021.06.06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9. 사막화방지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0) | 2021.05.30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2021년 시험 일정 (0) | 2021.05.30 |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8. 생물농축(Biological Concentration) (0) | 202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