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6-18 17:02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조경캐드] 종단면도 그리기 본문

조경/Cad

[조경캐드] 종단면도 그리기

상냥한 민트 2022. 8. 30. 14:43

오늘은 종단면도를 그려보자.

이렇게 간단한 것을 그릴테니 겁먹을 것 없다.

샘플자료는 내가 토목회사에 다녔던 설계도 중에

 이런 것이 있다.

소규모 주민숙원사업으로,

현재와 비슷하게 간단하다고 생각되어서 가져와봤다.

이때에는 RP 즉 ROAD PROJECT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이렇게 작은 종단면도부터 큰 종단-횡단까지도 모두 그렸었는데 

조경회사에서는 굳이 RP까지 쓸 필요는 없을 것 같고

RP는 비싸고

요즘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드림에도 종단면도 기능이 있으므로

지형도에 z값 노드 및 선을 잘 그려주고 추출값을 잘 수정해주면 RP와 같은 결과도면을 얻을 수 있다.

그럼 시작해보자.


1. 종평면도를 그려준다.

종평면도의 축척에 따라 종단면도의 축척도 달라진다.

종평면도의 NO.0점은 항상 왼쪽에서 시작하며 도로가 기준점이 된다.

위의 이미지는 배치창에서 MV창을 열어서 UCS를 돌린 후 PLAN으로 작업한 것이다.

측점을 쓰는 기능은 마찬가지로 드림에 있다.

2. 선형을 지나는 현황지형선를 그려준다.

보통 수치지형도에 작업한다면 크게 상관은 없지만

지형도에서 종단을 추출하려면 종단선형에 지형선을 걸려있어야 한다.

레이어를 하나 생성해서 z값을 아는 점에는 

이렇게 z값 점을 생성해주고

모르는 점은 "두 점 사이 EL 구하기" 기능을 이용하여 z값 점을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 준 z값끼리 이어주는 등 현황지형도를 만들어준다.

z값 점끼리 이어줄 때에는 필히 LINE으로 이어주면서 노드를 인식했는지 확인해준다.

노드를 인식하면 z값이 첫점과 끝점에 들어간 선이 되고

아니면 그냥 0점까지 선이 되기때문에 지형도로써 인식이 되고 안되고의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렇게 첫점과 끝점을 지나는 현황지형선을 만들어주었다.

만약 지형선이 길고 꼬불꼬불하다면 그런 지점마다 현황지형선을 만들었겠지만 

여긴 짧으니까 이렇게 2개 선만 그었다.

3. 현황 종단면도를 추출한다.

일단 아까 그려준 종평면도가 축척이 100이었으므로

H와 V를 모두 알아보기 쉽게 100으로 설정했다.

필요에 따라 늘이고 줄일 필요가 있다는거.

앗?? 경사가 왜이래?? 앗?? 첫 점에 노드가 안잡혔네?? 음..

그럼 추가로 선을 더 그어주고 다시 종단을 돌렸다.

이렇게 평이한 결과물이 나왔다.

음 거진 평지로구만.

4. 계획 지형선을 그려준다.

계획지형선은 이제 횡단면도도 그릴 것을 감안해서 그려준다.

기본적으로 횡단면도는 측점마다 그려주고

측점이 아니더라도 토공량이 변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마다 그려주게 되므로

각 꼭지점 등에 미리 하얀 선을 그어주었다.

이 선에 z값 점이라던가 EL 구하기 등을 이용하여 z값 선을 그려줄 것이다.

자세한듯 대충인듯 ㅋㅋ 종단 횡단 선형에만 걸리면 된다 ㅋㅋ

5. 계획 종단면도를 추출한다.

6. 현황 종단면도와 계획 종단면도를 겹쳐서 하나로 만들어준다.

 6-1. 종단선형을 먼저 그리고..

종단선형은 계획고이기때문에 계획 종단면도에 있는 지반고를 적어준다.

그런데.. No.0의 현황지반고가 12.25인데 계획지반고가 12.29로 나왔다..? 왜지..?

이건 그냥 임의로 12.25로 맞춰주자 피곤하니까.

그럼 이런 모습이 된다.

종단선형은 왼측에서 오른측으로 올라가고 있으니까

왼측에서 오른측으로 올라가게끔 경사를 그려주면 된다.

그리고 경사도가 궁금한 우리 고객님들께 경사도를 계산해서 알려줄 것이다.

H는 뒷 측점과 앞 측점의 높이차이(뒷 측점이 낮다면 -가 붙게 될거다)

L는 뒷 측점과 앞 측점의 거리차이

S는 H 나누기 L 곱하기 100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우리는 이번에 다이나믹한 놀이터를 위해서 일부러 경사를 만들어냈다.

 6-2. 절성고를 적는다.

절성고는 현재 지형과 계획 지형의 높이 차이라고 보면 된다.

6-3. 계획고를 적는다.

계획고는 계획 종단면도에 있으니까 가져오면 된다.

맨 처음에 계획고 12.29를 12.25로 수정했던거 잊지 말고..

글자 간격까지 맞춰주면 끝!

반응형

'조경 > 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캐드 :: 사면계획 및 제도  (0) 2023.01.03
조경캐드 :: 필드  (2) 2022.11.01
[캐드] PS(PSPACE)  (0) 2022.06.17
[캐드] F12  (0) 2022.01.02
[리습] numinc  (0) 2022.01.0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