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1 14:09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교시] 옹벽 설계시 안전율 본문

배움/조경기술사

[1교시] 옹벽 설계시 안전율

상냥한 민트 2025. 1. 1. 23:30

 

제133회 조경기술사 제1교시

문제 4. 옹벽 설계시 안전율


Ⅰ. 개념

옹벽(Retaining Wall)은 토압, 수압 등을 견디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전율(Factor of Safety)은 옹벽 설계 시 구조적 안전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구조물이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기준을 제공한다.


Ⅱ. 관련 내용

  1. 옹벽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안전율
    • 전도 안전율(Overturning Factor): 옹벽이 회전하여 전도되지 않도록 필요한 안정율. 일반적으로 1.5 이상이 권장됨.
    • 활동 안전율(Sliding Factor): 옹벽이 토압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필요한 안정율. 일반적으로 1.5 이상 유지.
    • 지반 안전율(Bearing Capacity Factor): 옹벽 하부 지반이 하중에 의해 침하되지 않도록 고려. 일반적으로 2.0 이상 필요.
  2. 옹벽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토압: 옹벽 뒤쪽의 흙이 가하는 수평 하중.
    • 수압: 배수 설계가 미흡할 경우 옹벽에 가해지는 추가적인 하중.
    • 재료: 옹벽의 구조적 강도는 재료의 특성과 직결됨(콘크리트, 석재 등).
    • 배수 설계: 배수시설의 유무에 따라 수압 및 구조적 안전성 결정.
  3. 조경 설계에서의 옹벽 활용
    • 경관 개선: 옹벽 표면에 식재나 벽면녹화 기술을 적용하여 시각적 효과 향상.
    • 안전성 강화: 옹벽 설계 시 자연재해(지진, 홍수 등)와 같은 환경적 요인을 고려.
    • 친환경 설계: 생태적 옹벽(녹화 옹벽)을 활용하여 생물다양성을 증진.
  4. 설계 기준 및 유지관리
    • 설계 시 지반 조사 및 안정성 해석을 철저히 수행.
    • 유지관리 시 옹벽의 균열, 배수 상태, 식생 상태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

이하여백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