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11 05:45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궁궐조경
- 잔디량
- 세팅기
- 가디건
- 시간의탐험대
- 220804
- 210108
- 171030
- 210829
- 시탐
- 어둠의탐험대
- 어탐
- 티스토리
- 관목
- 파티찾기
- 잔디구적
- 210114
- 물결플래시
- 유효하지
- 디카방수
- 유효하지않음
- wizplat
- 220624
- 211017
- 물향기
- 소가죽
- 악세서리즈
- 모르간 듀블레드
- 식재밀도
- 140804
Archives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교시] 하하(Ha-Hah) 기법 본문
제133회 조경기술사 제1교시
문제 6. 하하(Ha-Hah) 기법
Ⅰ. 개념
하하(Ha-Hah) 기법은 18세기 영국의 풍경식 정원에서 주로 사용된 조경 기술로, 경관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기능적 경계를 제공하는 설계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땅을 파서 만든 도랑과 돌담을 결합하여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경계를 형성한다.
Ⅱ. 관련 내용
- 하하 기법의 설계 원리
- 시각적 연속성: 담장이 땅 아래 숨겨져 있어 경관의 단절 없이 자연과 정원이 하나로 연결된 듯한 효과를 준다.
- 기능적 경계: 가축과 사람의 이동을 통제하며, 정원의 경계를 명확히 설정.
- 재료와 형태: 대개 석재와 흙으로 구성되며, 수직의 담과 경사면을 결합한 구조.
- 하하 기법의 역사적 배경
- 18세기 영국의 자연주의 풍경정원(English Landscape Garden)에서 시작.
- 윌리엄 켄트(William Kent)와 랜슬롯 브라운(Lancelot ‘Capability’ Brown) 같은 정원 설계가에 의해 널리 사용.
- 자연 경관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인공적 요소를 최소화하는 철학 반영.
- 현대 조경에서의 활용
- 경관 보존: 도시와 농촌 경계 지역에서 자연적이고 미적인 경계 형성.
- 공원 설계: 공공 공간에서 경계가 필요하지만 시각적 단절을 피하고자 할 때 사용.
- 생태적 가치: 자연적 요소와 조화로운 경계로 야생동물의 서식지 보호.
- 하하 기법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자연 경관과의 조화로 심미성 향상.
- 기능성과 미적 요소의 조화를 달성.
- 단점:
- 초기 설치 비용이 높고 유지관리가 어려울 수 있음.
- 현대적 맥락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장점:
- 조경적 의의
- 하하 기법은 경관 디자인에서 경계와 연결성을 동시에 해결하는 독창적 설계 방식으로, 현대 조경에서도 영감을 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끝
이하여백
반응형
'배움 > 조경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교시] 환경포텐셜(Potential)의 개념과 구성 (2) | 2025.01.01 |
---|---|
[1교시] 솟대의 기원 및 기능 (0) | 2025.01.01 |
[1교시] 노먼 볼로그(Norman Borlaug)의 녹색혁명 (0) | 2025.01.01 |
[1교시] 옹벽 설계시 안전율 (0) | 2025.01.01 |
[1교시] 듀얼라이프 (0) | 2025.01.0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