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2-23 03:43
관리 메뉴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별서정원 본문

배움/조경기사

별서정원

상냥한 민트 2016. 7. 26. 19:22
세속의 벼슬이나 당파싸움에 야합(野合)하지 않고 자연에 귀의하여 전원이나 산속 깊숙한 곳에 따로 집을 지어 유유자적한 생활을 즐기려고 만들어 놓은 정원.

이러한 정원은 각처에 산재해 있지만, 전남 담양군 남면(南面)에 있는 양산보(梁山甫)의 소쇄원(瀟灑園:담양소쇄원)과 강진군에 있는 정약용(丁若鏞)의 다산정원(茶山庭園), 그리고 완도군 보길도(甫吉島)에 있는 윤선도(尹善道)의 부용동정원(芙蓉洞庭園)이 대표적이다.

① ‘소쇄원’은 자연계류(自然溪流)를 중심으로 사면공간(斜面空間)의 일부를 화계식(花階式)으로 다듬어 정형식 요소를 가미한 것으로서 중종(中宗) 때에 축조되었다고 하며, 제월당(霽月堂)과 광풍각(光風閣) 및 애양단(愛陽壇)을 중심으로 석가산(石假山) ·수대(水엣) ·원규유수구(垣竅流水口), 오곡문(五曲門) 위의 단상와이장(段狀瓦茸墻), 그리고 수대를 가운데에 둔 상하 2개의 소형 방지(方池) 및 대봉대(待鳳臺) 위의 원정(園亭) 등이 주요 구성요소이다.

② ‘다산정원’은 정약용이 순조원년(純祖元年)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유배지인 전남 강진에 축조한 것으로서, 초당(草堂)을 중심으로 방지와 정석(丁石) 및 몇 단(段)의 화계가 놓여 있는 극히 간소한 정원이고,

강진 정약용 유적 다산초당
전남 강진군 도암면. 다산 정약용이 강진으로 유배 와서, 18명의 제자와 함께 강학을 하던 곳. 1936년에 없어진 것을 1957년에 다산의 외가인 해남 윤씨의 협조를 받아 정다산유적보존회가 복원하면서 지붕을 기와로 덮었다.

③‘부용동정원’은 병자호란(丙子胡亂) 후 윤선도가 12년간 은둔생활을 하던 곳으로서, 보길도의 격자봉(格紫峰) 북록(北麓)에 낙서제(樂書齊)를 지어 기거하는 자리로 삼는 한편, 동구 밖 계류가 흐르는 곳에 변천적인 생김새의 방지 두 개를 축조하고 물가에 세연정(洗然亭)을 세워 마주보이는 곳에 동대(東臺)와 서대(西臺)를 쌓았으며, 방지 속에는 방주(方州)와 옥소암(玉簫岩)을 앉혀 경관을 돋보이게 하고, 한 방주에는 연정고송(然亭孤松)을 가꾸었다고 한다. 큰 방지에서는 뱃놀이도 했다고 하는데, 다리를 겸해 물이 괴도록 쌓았던 석제(石堤)는 더할 나위 없이 특수한 구조를 가졌으며, 또한 윗 방지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배수공(排水孔) 등 세밀하게 배려한 것을 볼 수 있다.

전남 완도군 보길도. 고산 윤선도가 보길도 부용동에 은거하면서 만든 연못으로 자연미가 돋보이는 우리나의 대표적인 전통 정원이다.

④ 구례(求禮)의 운조루정원(雲鳥樓庭園). 전남 구례군 토지면(土旨面) 오미리(五美里)에 있는 조선 후기의 누정.
중요민속자료 제8호. 조선 영조 때 류이주(柳爾胄)가 낙안군수로 있을 때 건축했다고 하는데, 큰사랑 대청 위 상량문의 기록은 1776년(영조 52)에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규모나 구조가 당시 귀족 주택의 모습을 잘 나타낸다. 현존하는 주요 부분은 사랑채와 안채이며, 그 밖에 행랑채 ·사당 ·연당 등이 있다. 사랑채는 3채가 있는데, 큰사랑은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높이 약 1.2m의 축대 위에 있으며, 중문쪽이 온돌방, 가운데가 마루방, 서쪽 끝이 누마루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안채는 높이 약 60cm의 활석을 쌓아 올린 기단 위에 있으며, 초석은 큰 괴석을 사용하였다. 기둥은 전면 마루 끝에 선 것이 지름 약 2.3m의 둥근 기둥이며, 다른 것은 모두 모난 기둥이다. 안채 남동쪽에 사당이 있으며, 맞배지붕 홑처마집이다. 대문과 행랑채 남쪽 마당 건너에 연당이 있는데, 원래는 약 200평 되던 것이 지금은 일부만 남아 있다. 연당은 맞은편에 보이는 오봉산(五峰山) 삼태봉(三台峰)이 화산이어서 화기를 막기 위한 것으로 전한다.

⑤ 경종(景宗) 때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김창업(金昌業)이 한양 동쪽 교외에 꾸몄다는 광활한 별서정원.

이 모두가 산간벽지의 인적이 드문 곳에 자연을 벗삼을 수 있게 별서를 지을 자리로서 택했다는 것은 바로 자연귀의(自然歸依)와 은일사상(隱逸思想)이 빚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doopedia.co.kr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