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디카방수
- 211017
- 세팅기
- 모르간 듀블레드
- 유효하지않음
- 어둠의탐험대
- 140804
- 잔디구적
- 관목
- 물향기
- 물결플래시
- 171030
- 티스토리
- 어탐
- 가디건
- 유효하지
- 식재밀도
- 시간의탐험대
- 소가죽
- 210829
- 궁궐조경
- 시탐
- 220624
- 악세서리즈
- wizplat
- 210114
- 파티찾기
- 220804
- 210108
- 잔디량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일본조경사 본문
1. 아즈카시대 : 비조시대 : 7세기
- 백제 노자공이 수미산과 오교를 놓았다고 기록
2. 나라시대 : 나양시대 : 8세기
- 평성궁의 동원정원, 곡수연을 위한 곡지
3. 헤이안 시대 : 평안시대 : 8~12세기
- 해안풍경(하원원, 육조원)
신선사상(대각사, 신천원)
- 침전조정원(동삼조전), 작정기(정원서)
- 정토정원(평등원, 모월사) : 불교의 극락왕생을 표현
4. 가마쿠라시대 : 겸창시대 : 12~14세기
- 정토사상, 선종의 전파로 영향, 몽창국사
- 정토정원 : 정유리사, 칭명사, 영보사정원
- 선종정원 : 서천사, 서방사, 남선원정원
5. 무로마치 시대 : 실정시대 : 14~16세기
- 정토정원 유지 : 천룡사정원, 녹원사(금각사), 자조사(은각사)
- 선종의 영향으로 고산수정원 탄생
- 축산고산수정원 : 대덕사 대선원
- 평정고산수정원 : 용안사, 방방, 석정
용안사 : 평정고산수 양식을 대표. 일본의 바다를 표현. 크고 작은 15개의 정원석으로 만듦.
6. 아츠지 모모야마시대 : 도산시대 : 16~17세기
- 서원조정원 : 이지환정원, 삼보원, 대서원
- 다정 : 천리휴 대암의 로지, 서굴원주의 고봉암정원
대문에서 다실문 바로 앞에 이르까지의 통로가 되는 정원을 로지,
징검돌인 도비이시, 석등과 울타리, 한적하고 청정한 분위기,
인공산, 언덕인 노스지, 포장석 시키이시, 돌그릇 등,
와비와 사비의 정원이념
7. 에도시대 : 강호시대 : 17~19세기
- 원주파임천식 : 다정양식과 임천식의 혼합.
계리궁(가쓰라이궁), 백락천 이상향, 수학원 이궁
- 대명정원 : 영주의 소유, 차경적 요소를 중요시.
육의원, 율림공원, 강산후락원(곡수식 다정),
소석천후락원(회유임천식), 빈이궁 정원, 성취원, 겸육원
- 평정형식 : 서민주택을 조영
- 축경식정원
8. 메이지시대 : 명치시대
- 서양식 조경기법 도입 : 식숙어원, 적판이궁원, 히비야공원
'배움 > 조경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사 17 (0) | 2016.09.08 |
---|---|
우리나라 정원 양식의 사상적 배경은? (0) | 2016.09.08 |
2016년도 기사 제2회 필기시험 조경기사 B (3) | 2016.08.29 |
별서정원 (0) | 2016.07.26 |
2016년도 기사 제2회 필기시험 조경기사 B형 (2) | 201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