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악세서리즈
- 모르간 듀블레드
- 220804
- 171030
- 티스토리
- 시간의탐험대
- 211017
- 220624
- 잔디량
- 어탐
- 잔디구적
- 유효하지않음
- 소가죽
- 어둠의탐험대
- 디카방수
- 유효하지
- 물결플래시
- 210829
- 관목
- 210108
- 가디건
- 식재밀도
- 파티찾기
- 궁궐조경
- 시탐
- 물향기
- 210114
- 세팅기
- wizplat
- 140804
- Today
- Total
목록배움/산림기사 (75)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PU93/btsEEMbwmsu/JKKRFVfRxAIQYYAiLt0RPk/img.jpg)
다음 조건에 따라 후버(Huber)식에 의해 구한 원목 재적은? - 원구단면적 0.030m2 - 중앙단면적 0.025m2 - 말구단면적 0.018m2 - 재장 15m ① 0.225 m3 ② 0.360 m3 ③ 0.375 m3 ④ 0.450 m3 답 : ③ 0.375 m3 - 후버(Huber)식 : 재적 = 중앙단면적×재장 - 스마리안(Smalian)식 : 재적 = (원구단면적+말구단면적)/2×재장 - 라이니케(Reineke)식 : 재적 = (원구단면적+4×중앙단면적+말구단면적)×재장/6 - 말구직경자승법 : 재적 = (말구직경)2×재장×1/10,00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YvXu/btsEEwz7NPD/635DzlmqVOVXEhi4vkUGF1/img.jpg)
임업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자본에 귀속하는 소득 = 임업순수익 - (지대 + 자본이자) ② 가족노동에 귀속하는 소득 = 임업소득 - (지대 + 자본이자) ③ 임지에 귀속하는 소득 = 임업소득 - (지대 + 가족노임추정액) ④ 경영관리에 귀속하는 소득 = 임업소득 - (지대 + 가족노임추정액) 답 : ② 가족노동에 귀속하는 소득 = 임업소득 - (지대 + 자본이자) 1)임지에 귀속하는 소득=임업소득-(자본이자+가족노동추정액) 2)자본에 귀속하는 소득=임업소득-(지대+가족노동추정액) 3)가족노동에 귀속하는 소득=임업소득-(자본이자+지대) 4)경영관리에 귀속하는 소득(기업자의 이윤)=임업순수익-(지대+자본이자) 5)자본수익률=순수익/자본x10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8vT/btsEJcM0JyR/khnOfAiSST7AK5KR4T1AeK/img.jpg)
산림에서 임목을 벌채하여 제재목을 생산할 때 부수적으로 톱밥이 생산되는데, 이러한 두 가지 생산물의 관계를 뭐라고 하는가? ① 결합생산 ② 경합생산 ③ 보완생산 ④ 보합생산 산림에서 임목을 벌채하여 제재목을 생산하면서 부수적으로 톱밥이 생산되는 경우, 이러한 두 가지 생산물의 관계를 **결합생산(Joint Production)**이라고 합니다. 결합생산은 하나의 생산 과정에서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생산물이 동시에 생산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주요 생산물인 제재목과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톱밥은 같은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결합생산의 전형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결합생산**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wbci/btsEEx6KyMy/ZgaxQ9WtrTMuFdGzpiVPFk/img.jpg)
유형고정자산의 감가 중에서 기능적 요인에 의한 감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부적응에 의한 감가 ② 진부화에 의한 감가 ③ 경제적 요인에 의한 감가 ④ 마찰 및 부식에 의한 감가 해설 ; 유형고정자산의 감가 중 기능적 요인에 의한 감가는 자산의 사용 기능이 변화하거나 기술적으로 진부해짐으로써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된 예로는 부적응에 의한 감가와 진부화에 의한 감가가 있습니다. - **부적응에 의한 감가(①)**: 시장의 수요 변화나 기술의 변화로 인해 기존의 자산이 현재의 요구사항에 맞지 않게 되는 경우 - **진부화에 의한 감가(②)**: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여 기존 기술이나 기계가 상대적으로 덜 효율적이거나 덜 유용하게 되는 경우 반면에, **경제적 요인에 의한 감가(③)**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