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물향기
- 유효하지
- 220624
- 세팅기
- 파티찾기
- 악세서리즈
- 모르간 듀블레드
- 관목
- 식재밀도
- 171030
- 140804
- 유효하지않음
- 시탐
- 가디건
- 어둠의탐험대
- 220804
- 210114
- 잔디구적
- 궁궐조경
- 물결플래시
- 211017
- 210829
- 시간의탐험대
- 잔디량
- wizplat
- 소가죽
- 210108
- 티스토리
- 어탐
- 디카방수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조경사 속 괴석 본문
국토교통부 승인
조 경 설 계 기 준
2016
![](https://blog.kakaocdn.net/dn/VW4TU/btszHtfsRY0/H6xFWuKe4V0iKMUEAXX1B1/img.png)
21.4.1 조경석의 종류(1) 입석이란 세워서 쓰는 돌을 말하며 전후좌우의 사방에서 관상할 수 있도록 배석한다. (2) 횡석이란 가로로 눕혀서 쓰는 돌을 말하며 입석 등에 의한 불안감을 주는 돌을 받쳐서 안정감을 주는 데 사용한다. (3) 평석이란 윗부분이 편평한 돌을 말하며 안정감이 필요한 부분에 배치하고, 주로 앞부분에 배치한다. (4) 환석이란 둥근 돌을 말하며 무리로 배석할 때 많이 이용된다. (5) 각석이란 각이 진 돌을 말하며 삼각, 사각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된다. (6) 사석이란 비스듬히 세워서 이용되는 돌을 말하며 해안절벽과 같은 풍경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된다. (7) 와석이란 소가 누워 있는 것과 같은 돌을 말한다. (8) 괴석이란 흔히 볼 수 없는 괴상한 모양의 돌을 말하며 단독 또는 조합하여 관상용으로 주로 이용된다.
![](https://blog.kakaocdn.net/dn/cyRpyo/btszCFBEPl4/IMs9WkKiUn8MkrbHliti3k/img.png)
(2) 구성적 배석용 경관석의 기본형태
사실묘사 풍경 배석용 돌은 감상면에서 8가지로 이용되는데 비하여 구성적 배석용돌은 5가지의 기본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를 5행석(五行石)이라 하여 체동석․영상석․심체석․지형석․기각석으로 분류한다.
① 체동석(體胴石) : 전후좌우 어디서나 바라볼 수 있는 모양의 돌로 입체감을 주며 관상의 효과가 가장 좋다.
② 영상석(靈象石) : 체동석과 같이 입체감을 주며 배석에 있어서 안정감을 주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형태의 돌이다.
③ 심체석(心體石) : 위의 표면이 평평하게 된 돌로 불안정한 석조조합의 배석에서 안정감을 갖게 해준다. 일명 대초석(大初石)이라고도 한다.
④ 지형석(枝形石) : 돌의 윗부분이 평평하며 마치 나뭇가지가 뻗어 있는 것과 같이 직삼각형꼴로 동적인 미를 지니고 있다.
⑤ 기각석(寄脚石) : 소가 누워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돌로 일면 와우석(臥牛石)이라고도 한다. 이 돌을 배석했을 때 영상석이나 체동석, 지형석의 이용효과를 보완시켜 주며 안정감을 갖게 한다.
조경산업기사
(2003-03-16 기출문제)
53. 우리나라에서의 고대 전통수법으로 제조된 특수벽돌은?
와석(臥石)
판와(板瓦)
전(塼)
대석(臺石)
2012년 03월 04일 필기 기출문제
7. 일본의 석조 방식에서는 기본이 되는 돌의 형태에 따라 오행석으로 분류하였다. 그 가운데 주석(主石)이 되는 돌의 이름은?
① 기각석
② 지형석
❸ 영상석
④ 심체석
2012년 05월 20일 필기 기출문제
7. 돌을 절구나 도가니처럼 다듬어 석연지나 물거울로 사용하는 전통 점경물은?
① 식석
❷ 돌확
③ 석분
④ 대석
2013년 03월 10일 필기 기출문제
7. 일본 도산(모모야마) 시대를 대표하는 정원으로서 풍신수길이 “등호석”이라는 유명한 돌을 운반하여 조성한 정원이 있는 곳은?
① 이조성
❷ 삼보원
③ 계리궁
④ 육의원
2015년 03월 08일 필기 기출문제
8. 「양화소록」에 “괴석이 푸르고 깎아 세울 듯 하며 골짜기에 구름이 감출 듯한 모양으로 이끼가 잘 자라는 돌”이라 하여 최상의 경물로 취급되는 것은? ① 운경석② 차경석 ③ 금경석❹ 산경석
15. 중궁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주름지고 구멍이 뚫려 있으며, 야윈 것을 좋은 태호석이라고 한다. 이러한 조건을 갖춘 다음 그림의 태호석의 명칭은?
![](https://blog.kakaocdn.net/dn/rqKUG/btszH7QGS9K/f7NaoTwjGY4Bqu9pLgrrpk/img.jpg)
① 첩석봉(疊石峰) ② 태동봉(胎胴峰) ③ 설산봉(雪山峰) ❹ 서운봉(瑞雲峰)
2016년 10월 01일 필기 기출문제
4. 석재 점경물의 명칭과 용도가 옳지 않은 것은? ① 돌확 - 석연지나 물거울로 사용 ② 석분 - 괴석을 받치는 데 사용 ❸ 석가산 - 인공석을 쌓고 다듬어 산을 표현 ④ 대석 - 해시계, 화분 등의 다듬은 받침돌
2018년 04월 28일 필기 기출문제
16. 일본의 석조원생팔중원전(石組園生八重垣傳)에 소개된 오행석(五行石) 중 체동석(體胴石)은 어느 것인가?
![](https://blog.kakaocdn.net/dn/YQNmx/btszGD3Y90L/Y9Xpwecn2U6ZyTnbCTfkpK/img.jpg)
2019년 04월 27일 필기 기출문제
14. 일본의 전통정원 오행석조방식에서 주석(主石)이 되는 바위의 명칭은? ① 기각석② 심체석 ❸ 영상석④ 체동석
'조경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26 데크 사례 (1) | 2023.11.21 |
---|---|
200803 집수정과 관 (1) | 2023.11.21 |
도시ㆍ군계획시설(체육시설)의 녹지율과 생태면적률 (1) | 2023.10.23 |
231010화 서울정원박람회 컨퍼런스 (0) | 2023.10.10 |
백제 공산성 미디어아트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