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10829
- 소가죽
- 211017
- 171030
- 140804
- 220624
- 210108
- 210114
- 잔디량
- 디카방수
- 잔디구적
- 티스토리
- 시간의탐험대
- 물향기
- 220804
- 물결플래시
- 시탐
- 식재밀도
- 어둠의탐험대
- 유효하지않음
- 모르간 듀블레드
- 세팅기
- 가디건
- 궁궐조경
- 악세서리즈
- 어탐
- 유효하지
- wizplat
- 파티찾기
- 관목
- Today
- Total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조경공부] 제도 기준 본문
조경설계를 처음 배울 때에
어떤 경우에 cyan 컬러를 이용하고
yellow 컬러를 이용하고
red 컬러를 이용하는지
다 배웠고 그 기준에 따라 지금까지 설계하고 있는데
그 기준의 근거가 무엇인지 영 기억이 안난다.
누군가에게 알려줄때에 명확히 알려주려면
근거부터 찾아야 할 것 같아서 기록해둔다.
일단 누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기준은 믿지않으므로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에서
검색해보았다.
[KS A 0109]이
[제도 ― 표시의 일반원칙(선에 대한 기본사항)]이라서
내가 원하는 내용과 유사할 것 같은데 폐지되었다.
사유는 [KSA128-21~23. 44시리즈 활용]이다.
그래서 [KS A ISO128-21]을 찾아왔는데
이것도 폐지되었다. 사유는
[원문표준의 대체에 따른 폐지(ISO128-2)]이다.
그래서 일단 [ISO128-1]을 검색했다.
ksaiso1281
여기에서 발견한 관련 내용으로 아래가 있다.
위 내용에 근거한다면 조경 제도 관련은
[ISO 11091]을 찾아봐야하는데 없다..
그래서 [ISO128-2]를 검색했다.
ksaiso1282
여기 부속서 B는 [건설 제도에서 사용하는 선]이었고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조경도면에 관련된 내용은 결국
[ISO-11091]을 보라는 내용이다..
참고사항으로 [KS F 1001]
[토목 제도 통칙]을 살펴보았다.
도면에 사용하는 선은 [KS A 0109]에 따른다는데
폐지된 그 내용이다.. 결국 돌아서 돌아서..
11091을 봐야하는데.. 어디있니..?
결국 ISO기준은 때려치우고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시험지를 봤다.
조경은 건축에서 파생되었고
이 양식이 우리가 쓰는 방식과 꽤 유사한 것 같다.
- 흰색 : 0.3mm, 외형선과 문자 및 치수 등
- 녹색 : 0.2mm, 보조단면선이나 마감선 등
- 노란색 : 0.4mm, 콘크리트 뼈대와 같이 힘을 받는 단면선이나 강조 외형선 등
- 하늘색 : 0.3mm, 입면선 등
- 빨간색 : 0.2mm, 일점쇄선의 중심선 등
- 파란색 : 0.1mm, 재료나 해칭선 등
그리고 [건축도면 공동 표준화지침] 속의
40쪽과 41쪽 내용이다.
아주 명확하게 내가 바라는 내용들이 적혀있고,
실제로 이렇게 설계시에 쓴다고 생각한다.
2.8.2. 건축도면의 색상과 선의 출력
2.8.3. 출력을 위한 색상 테이블정보의 사용
ISO 11091은 국제적인 제도 표준이라고 한다!
[한국 조경제도의 국제표준화 방안, 2009, 김민수] 논문에서
ISO11091과 [1997, 한국조경사회, 조경설계상세자료집]을 비교했는데
둘 다 출력을 위한 색상 정보는 따로 없는 모양이다.
다만 선의 굵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렇게 나와 있으니 참고하면 되겠다.
표기법도 내가 쓰는 그대로다. 반갑다. ㅎㅎ
물론 실무에서는
회사마다 다양한 양식을 만들어 쓰고
다양한 결과물을 존중한다.
그래도 직접 그리지않은 도면들을 참고할때
그린이가 무엇에 중점을 뒀는지 쉽게 알려면
기본적인 방식은 숙지해야한다고 본다.
끝.
'조경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천설계] 유수지설계 (0) | 2023.03.21 |
---|---|
[법규] 하천설계시 (0) | 2023.03.13 |
[조경법규] 공원조성계획(변경) 플로우챠트 (0) | 2023.01.13 |
조경공부 :: 대학원 (0) | 2022.12.21 |
수목원ㆍ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 약칭: 수목원정원법 )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