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소가죽
- 물향기
- 140804
- 관목
- 220624
- 물결플래시
- 210114
- 시탐
- 파티찾기
- 디카방수
- 어탐
- 210829
- 유효하지않음
- 식재밀도
- 잔디량
- 유효하지
- 악세서리즈
- 궁궐조경
- 티스토리
- 220804
- 시간의탐험대
- 211017
- 210108
- wizplat
- 가디건
- 세팅기
- 잔디구적
- 어둠의탐험대
- 모르간 듀블레드
- 171030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35)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Audit(오류검사)를 해도 나타나지 않고 Puge를 해도 없어지지 않는 보이지 않는 그 무언가의 문제! 이 것 때문에 새로운 도면에서 다시 그리고 다시 해보고 시간낭비를 얼마나 했던가. dxf로 저장하여 열어보기, 복사할 대상만 남기고 모두 삭제하여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한 후 블럭으로 불러오기, xref로 불러오기, Wblock으로 만들어서 불러오기 등등 여러가지 방법을 써보았지만 매번 귀찮고 시간 오래걸리고 저 방법들을 써도 안되고 심지어 insert까지 *유효하지 않음*으로 뜰 때가 얼마나 많았는지! 누군가가 어떤 파일을 캐드 설치 폴더에 넣으면 된대서 그 파일을 찾아 몇 시간이나 헤맨 적도 있고 울릉도 폰트 때문이래서 울릉도 폰트를 모두 다르게 바꿔본 적도 있고 _dot 블럭때문이래서 찾아내 없애..
2008년 조경기사 제 2회 B형 필기시험 1. 허(虛)와 실(實), 명(明)과 암(暗) 등 변화 있는 공간처리와 유기적인 건물 배치로 이름난 중국 소주지방의 명원은? 나 가. 졸정원 : 명나라시대 소주지방, 중국 사가정원의 대표작품 나. 유원 : 명나라시대 방형의 못 안에 '소봉래'라는 섬 다. 사자림 : 원나라시대 소주지방, 주덕윤 정원설계, 석가산수법, 기암괴석으로 석가산을 만듦, 21개의 동굴, 부채꼴의 선자정, 사자림 정원의 중심인 호심정 라. 창랑정 : 송나라시대 소주지방, 민간정원으로 소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정원, 북송시인 소순흠이 꾸밈 2. 일본 모모야마(桃山)시대의 다정원(茶庭園)은 '와비'와 '사비'의 개념으로 완성되었는데 이 정원을 설명한 사항 중 틀린 것은? 라 가. 인간생..
3.1 비탈면 수목식재 잔디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비탈면에 비탈면경사가 1:1보다 완만할 때에는 비탈면을 일시에 녹화하기 위해서 흙이 붙어있는 재배된 잔디를 사용하여 붙인다. 비탈면 전면(평떼)붙이기는 줄눈은 틈새 없이 붙이고 십자줄이 형성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붙이며, 잔디소요면적은 비탈면면적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비탈면 줄떼다지기는 잔디폭이 10㎝이상 되도록 하고, 비탈면에 10cm이내 간격으로 수평골을 파서 수평으로 심고 다짐을 철저히 한다. 선떼붙이기는 비탈면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단끊기후 되메우기한 앞면에 떼를 세워서 붙이되, 흙층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달구판으로 다지기를 잘하고 줄눈이 수평이 되도록 시공하며, 침하율을 감안하여 계획높이보다 덧쌓기를 하고, 부위별 떼의 규격은 설계서 및 감독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