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11017
- 210108
- 파티찾기
- 어둠의탐험대
- 220804
- 210114
- 시탐
- 171030
- 악세서리즈
- 210829
- 140804
- 가디건
- 유효하지않음
- wizplat
- 티스토리
- 물결플래시
- 식재밀도
- 잔디량
- 시간의탐험대
- 유효하지
- 모르간 듀블레드
- 잔디구적
- 소가죽
- 궁궐조경
- 세팅기
- 어탐
- 물향기
- 관목
- 디카방수
- 220624
- Today
- Total
목록배움 (426)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8o1Y/btsEHJxv9z0/a6QfNREmw4H3TQH1l2JBV1/img.jpg)
문제 :: 수목병의 표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잣나무 줄기에 황색의 녹포자기가 생겼다. ② 소나무 잎이 5~6월에 누렇게 되면서 낙엽이 되었다. ③ 벚나무 잎에 갈색의 반점이 형성되더니 구멍이 뚫렸다. ④ 오동나무 잎이 작고 연한 녹색으로 되고 잔가지가 많이 발생했다.더보기답 :: ① 잣나무 줄기에 황색의 녹포자기가 생겼다. 더보기 설명 :: 수목병의 표징이란 병원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버섯, 포자, 포자퇴, 균사, 균핵 등이 있습니다12. 수목병의 표징은 병원체의 종류와 생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나타냅니다. 아래는 수목병의 표징을 귀엽게 그린 예시 그림입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spBK/btsEydOhDJc/X3ECb642ikh8Ki7Yk3Rsmk/img.jpg)
문제 :: 후식으로 인한 수목 피해를 주는 해충에 속하는 것은? ① 소나무좀 ② 밤나무혹벌 ③ 미국흰불나방 ④ 오리나무잎벌레 더보기 답 :: ① 소나무좀 더보기 설명 :: 후식이란 식물의 잎이나 줄기, 뿌리에 벌레혹을 만드는 충영형성 해충을 말합니다1. 후식 해충에 속하는 것은 밤나무순혹벌, 솔잎혹파리, 느릅나무순혹벌, 소나무순혹벌, 소나무순명나방, 소나무순혹진딧물 등이 있습니다23. 후식 해충은 식물의 수세를 약화시키고,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며, 식물의 외관을 훼손합니다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2FaP/btsEA2dCKeT/CGWmQeHPyGLK6pelQRKvvK/img.jpg)
솔껍질깍지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12월에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 액제를 수간에 주사한다. ② 피해목을 잘라 집재하고 비닐로 밀봉하여 메탐소듐 액제로 훈증한다. ③ 성충 우화기인 5~6월에 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를 항공 살포한다. ④ 7월 이후 알을 구제하기 위하여 페니트로티온 유제를 수관에 살포한다. 답 : ① 12월에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 액제를 수간에 주사한다. 솔껍질깍지벌레는 소나무와 해송의 가지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하고, 갈변과 고사를 일으키는 병원체입니다. 솔껍질깍지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화학적 방제: 2월 하순부터 3월 중순에 후약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시기에 부프로페진 40% 액상수화제를 항공약제살포하거나, 3월부터 디노테퓨란 액제를 1,000배 액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KEi3/btsEBYV4f1v/eA7OA70tZb0Pkkt0JWSAq0/img.jpg)
병원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흰기루병과 녹병균은 절대기생체이다. ② 바이러스나 파이토플라즈마는 부생체이다. ③ 죽은 식물의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살아가는 것을 부생체라 한다. ④ 인공배양이 불가능하며 살아있는 기주조직 내에서만 증식하는 것을 절대기생체라 한다.답 : ② 바이러스나 파이토플라즈마는 부생체이다.병원체란 : 병원체는 **미생물**이며, **인체나 동식물의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원충체** 등이 있습니다. 아래는 병원체의 예시 그림입니다: 부생체란 **죽은 유기물에서만 생활하는 병원체**를 말합니다¹. 부생체는 식물의 죽은 조직이나 시체, 배설물 등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며, 병을 일으키지 않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