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세팅기
- 유효하지
- wizplat
- 시간의탐험대
- 210114
- 시탐
- 악세서리즈
- 어탐
- 티스토리
- 잔디구적
- 210108
- 140804
- 211017
- 디카방수
- 관목
- 어둠의탐험대
- 소가죽
- 210829
- 220804
- 가디건
- 모르간 듀블레드
- 171030
- 220624
- 파티찾기
- 유효하지않음
- 식재밀도
- 물결플래시
- 잔디량
- 물향기
- 궁궐조경
- Today
- Total
목록배움 (426)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문제 :: 어린나무가꾸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병해충의 피해를 받은 임목만 벌채하는 것이다. ② 임분의 수직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실시한다. ③ 목적 이외의 수종이나 형질이 불량한 임목을 제거하는 것이다. ④ 생육공간 확보를 위한 경쟁과정에서 생육공간 조절을 위하여 벌채하는 것이다. 더보기 답 :: ③ 목적 이외의 수종이나 형질이 불량한 임목을 제거하는 것이다. 더보기 설명 :: ②, ④ 은 간벌의 설명이다. 간벌의 효과 생육공간 조절 생장 조절 형질이 우수하고 생장이 왕성한 임분구성목으로 임분생장 집중 혼효조절로 임분목표의 안정화 도모 임분 수직구조개선으로 임분 안정화 도모 임연부 보호 관리 천연 갱신 및 보잔목 준비 자연고사에 의한 손실 방지 아래 그림은 DALL-E가 그려준 [어린나무..

주로 종자에 의해 양성된 묘목으로 높은 수고를 가지면 성숙해서 열매를 맺게 되는 숲은? ① 왜림 ② 중림 ③ 죽림 ④ 교림 답 : ④ 교림 왜림 : 맹아에서 기인하여 보통 수고가 낮으며 단벌기로 이용하는 산림. 연료림 중림 : 교림과 왜림이 섞여있는 산림으로 위에는 교림, 아래에는 왜림이 있는 임형 죽림 : 대나무숲..? 교림 : 종자에서 기인하여 보통 수고가 높으며 장벌기로 이용하는 산림. 성숙림. 순림 : 한 가지 수종으로 이루어진 산림 이령림 : 나이와 크기 차이가 많이 나는 나무들로 이루어진 산림 혼효림 : 두 가지 이상의 수종으로 이루어진 산 아마도 왜림과 교림이 섞인 중림의 모습이 아래와 같지 않을까?
풀베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실시한다. ② 모두베기할 경우 조림목이 피압될 염려가 없다. ③ 모두베기보다 둘레베기는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다. ④ 조림목이 양수수종인 경우 노동력이 더 많이 필요하다. 답 : ② 모두베기할 경우 조림목이 피압될 염려가 없다. 풀베기란 : 조림지 내 임목이 일정한 크기에 이를 때까지 일정 기간 잡초목을 매년 1~2회 잘라주는 작업. 잡초목 피압으로 인한 어린 나무의 생장저해나 잡초목에 의해 토양 중 양분이나 수분이 뺏기는 현상 등을 막기 위해 필요한 과정. 어린 나무를 조림한 곳은 주로 큰 나무가 없고 햇빛이 잘 들어 풀이 왕성하게 자라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풀베기를 해야 조림목이 햇빛과 양분, 수분 등을 충분히 흡수해 성장할 수 있음 풀..
종자의 활력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절단법 ② 환원법 ③ 양건법 ④ X선 분석법 답 : ③ 양건법 종자의 활력을 잃으면 휴면에 들어가게 된다. 종자의 활력검사 1) 투시법 : 광선을 투과시켜서 발아의 유무를 알기 위한 방법 2) 절단법 : 배를 절단하여 배의 색깔로 판단 3) 가열 튀김법 : 가열한 철판위에 종자를 놓고 활력이 있는종자는 잘튀는 성질을 이용 4) 비중법 : 비중의 차이로 ( 벼의 염수선 방법 ) 5) 효소 검출법 : 효소 작용의 유무를 가지고 확인하는 방법 6) 호흡 검정법 : 호흡의 정도를 가지고 확인하는 방법 7) 생체 염색법 : 인디코카민 등의 색소에의한 염색상황을 검정하여 판정 8) 환원법 : 배의 호흡으로 특정 화학물질을 환원시켜 그의 정색반응으로 검정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