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탐
- 모르간 듀블레드
- 어둠의탐험대
- 171030
- 디카방수
- 210829
- 어탐
- wizplat
- 211017
- 시간의탐험대
- 궁궐조경
- 관목
- 잔디량
- 140804
- 물결플래시
- 유효하지않음
- 잔디구적
- 210114
- 유효하지
- 220624
- 220804
- 210108
- 가디건
- 식재밀도
- 소가죽
- 세팅기
- 티스토리
- 파티찾기
- 악세서리즈
- 물향기
- Today
- Total
목록배움 (426)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1. 개념 (1) 뉴딜정책 :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이 대공황으로 침체된 미국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추진 (2) 한국판뉴딜 1.0 : 미국의 뉴딜 정책처럼 코로나19로 주춤해진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2020년 발표 (3) 한국판뉴딜 2.0 : 사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보호를 강화하고자 고용·︎사회안전망 강화를 확대 및 개편한 휴먼 뉴딜을 추가하여 2021년 발표 2. 휴먼 뉴딜 (1) 저탄소,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사람투자를 대폭 강화하고, 코로나 이후 심화된 불편등과 격차 완화 (2) 주요 정책 - 사람투자 : 인력 양성, 취업 지원,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여 새로운 일자리로 이동 도모 - 고용·︎사회안전망 : 위기 발생 시 더 큰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사각지대 해소 - 청년정책 ..
생태적 엇박자(Ecological mismatch)의 개념과 사례1. 생태적 엇박자의 개념 - 해마다 변덕스러운 날씨가 계속되면 생물종들도 산란과 부화 시기가 일정치 않게 되고, 그 결과 먹이를 구할 수 없게 되는 것 -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생물종들은 갈수록 개체수가 줄어들고 되고, 그에 따라 멸종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있음 - 급격하게 변하는 환경 속에서 생물종들의 적응과 진화에 대한 지혜가 발현되지 못한다면 생존할 수 없음 2. 사례 : 박새의 산란과 부화 - 잡식성인 박새가 봄철에 산란하면 어린 새끼에게 먹여야 하는 주된 먹이가 나방 애벌레들 - 나방 애벌레들은 봄철의 연한 잎을 먹고 자람 - 기온이 낮아져 잎이 나오는 시기도 늦어지니 박새가 이를 알고서 늦은 산란을 한 것으로 추측 - ..

2023년 04월 22일 토요일 선운산에 식물학 답사를 갔다. 포장재료가 제주도 현무암인듯하고 경계석은 round를 줘서 화단과의 경계가 특이했다. 선운사 대웅전 공사가 한창이었다.

6. 비보(裨補) Ⅰ. 비보의 개념 비보(裨補)란 부족한 부분을 채운다는 의미 풍수(風水)에서 지기(地氣)가 부족한 부분에 여러 조치를 취하여 취약한 부분을 없애거나 명당으로 만드는 일련의 방법 Ⅱ. 한국사에서의 비보 신라말의 선승이자 풍수지리설의 대가인 도선(道詵)에게서 비보적인 풍수 관념이 시작 국토에 대한 각종 비기(秘記)와 답산가(踏山歌)를 남기며 산천의 형세를 유기적으로 파악 사람에게 병이 들면 그 혈맥(血脈)을 찾아 침을 놓고 뜸을 떠서 병을 고치는 것처럼, 산천에도 병이 들면 지정한 곳에 사원(寺院)을 짓거나 불상, 탑, 부도 등을 세우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주장 도선이 행한 풍수적 조치가 대개 불교적 양식인 절이나 탑, 부도 등을 통해 이루어진 까닭에 이것을 비보사탑설이라고 함 산천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