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소가죽
- 어탐
- 210108
- 모르간 듀블레드
- 시탐
- 파티찾기
- 시간의탐험대
- 유효하지
- 140804
- 물향기
- 궁궐조경
- 잔디량
- 211017
- 210114
- 잔디구적
- 어둠의탐험대
- 210829
- wizplat
- 220804
- 악세서리즈
- 물결플래시
- 식재밀도
- 220624
- 유효하지않음
- 티스토리
- 171030
- 가디건
- 관목
- 세팅기
- 디카방수
- Today
- Total
목록배움 (426)
상냥한 민트의 상냥한 블로그

5. 법면녹화 공사시 비탈면경사도의 판정기준에 의한 식물생육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 원칙적으로 식물을 도입하는 부분의 비탈면 경사는 30° 이하여야만 수목류의 정상적인 생육이 가능 - 35°를 넘어 급한 경사가 될수록 45°이상에서는 식생의 영속적인 생육에는 문제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피해야 한다. 2. 식생도입이 부적합한 환경 - 식생의 도입이 부적합한 토질조건이나 표면이 불안정하여 녹화공법을 적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구조물에 의한 비탈면 보호공법을 적용 - 필요시 녹화보조방법을 병행하여 적용 다)깎기 비탈면이 장기적으로 안정하고 풍화 내구성이 강한 연암 또는 경암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녹화공법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라)비탈면의 경사와 토양경도를 고려한 기반의 생육적합도 판정기준은 ...
4. 공사수행시 효율적 노무관리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아.. 이건.. 모르겠다..

6. 자연공원의 지정기준과 국립공원 관리방향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Ⅰ. 자연공원의 지정기준 Ⅱ. 국립공원 관리 방향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높은 사유지 비율 국립공원이라는 공통의 목표에 따른 관리에 비협조적인 사례가 적지 않음 국립공원에 포함되거나 인접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의 협력적 연대가 매우 중요 사유지를 포함한 국립공원의 경우는 국립공원의 보전이 생태계 보전, 경관 보전과 함께 지역사회의 경제 활동에도 직접적인 이익이 되어야만 협력적 연대가 가능 일본, 네덜란드의 국립공원에서는 공원내부 혹은 인접부의 마을이 국립공원을 매개로 많은 관광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보전에 대하여 자긍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협력 최근 국내에서는 국립공원 내 명품마을 사업을 통하여 지역 지원사업을 실시 탐방객 수준..

[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2교시] 5.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환경부, 2020)에서 추가된 생물종과 지정사유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Ⅰ. 생태계교란 생물이란. 생태계 등에 미치는 위해가 큰 생물 Ⅱ. 2020년 추가된 생태계교란 생물종 악어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 긴다리비틀개미 빗살무늬미주메뚜기 Ⅲ. 지정사유 1. 악어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 생태계교란 생물인 붉은귀거북과 같이 애완용으로 수입되어 사육. 하천, 생태공원 등에 방생·유기되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 수명이 길고, 생존능력이 우수하여 국내 토착종(남생이, 자라)과 서식지 경쟁을 유발할 우려. 특히 플로리다붉은배거북은 판매 가격이 저렴하고 사육이 쉬울 뿐만 아니라 국내 토착종과 교잡될 가능성. 2. 긴다리비틀개미 둥지를 ..